한국의 외교 무대에서의 위상 강화와 미래 성장 동력 확보라는 두 가지 핵심적인 과제가 동시에 제기되고 있다. 특히 최근 9월 유엔안보리 의장국으로서 이재명 대통령이 직접 안보리 회의를 주재하며 ‘AI와 국제평화·안보’라는 주제를 다룬 것은 이러한 과제 해결을 위한 대한민국 정부의 적극적인 의지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이다. 이는 단순한 의장국 수임을 넘어, 미래 사회의 핵심 기술인 인공지능(AI)에 대한 국제 규범 형성에 선도적으로 나서겠다는 선언이며, 동시에 국민들에게는 미래에 대한 희망과 한국인으로서의 자부심을 고취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번 유엔 외교의 배경에는 AI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그에 따른 잠재적 위험성에 대한 국제사회의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한국 최고지도자로서는 처음으로 안보리 회의를 직접 주재하며 AI가 가져올 파괴적 혁신에 주목했다. 그는 AI가 적절한 규범 마련 없이 활용될 경우 인류를 위협하고 불평등을 심화시킬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국제협력과 다자주의 연대를 통한 공동의 대응 방안 모색을 강조했다. 또한, 대한민국이 글로벌 책임 강국으로서 이러한 국제 규범 형성과 협력 논의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겠다는 의지를 천명함으로써, 한국의 높아진 외교적 역량을 여실히 드러냈다.
이러한 국제사회의 흐름 속에서 대한민국은 미래 먹거리 확보에도 힘쓰고 있다. 세계 최고 자산운용사인 블랙록의 래리 핑크 회장과의 만남을 통해 최첨단 미래산업인 AI 협력에 대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AI 인프라 구축을 통해 한국을 아태지역 허브로 만들겠다는 뜻을 모았다. 이는 국민들의 미래 경제에 대한 희망을 심어주는 구체적인 성과로 평가된다. 또한, 유엔총회 연설을 통해 한국 민주주의의 회복을 선언하고, 자유, 인권, 포용, 연대의 가치를 수호하는 책임 강국으로서의 위상을 재확인했다.
나아가, 적대와 대립으로 얼어붙은 남북 관계 정상화를 위한 ‘END’ 이니셔티브를 제시하며 한반도에서 평화 공존과 공동 성장의 새 시대를 열어가자고 제안한 점도 주목할 만하다. 특히 비핵화 진전과 별개로 북미 관계 정상화를 수용한다는 창의적이고 진취적인 제안은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 간의 만남을 촉진할 효과가 기대된다. 이러한 외교 활동들은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의 지지를 얻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양자 정상회담을 통해 방산, 관광, 원전, 우주항공, 핵심 광물 공급망 등 실질적인 국익 증진을 위한 세일즈 외교로 이어졌다.
한편, 뉴욕 증권거래소에서 ‘대한민국 투자 서밋’을 개최하여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를 위한 정책과 해법을 제시한 점 역시 중요한 성과로 평가된다. 국방력 강화, 불공정 지배구조 및 거래 개선, 세금 제도 개혁, 확장 재정 정책 등을 통해 한국 금융 및 증시의 부흥을 모색하며 투자를 유치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
하지만 이러한 성공적인 유엔 외교 이후에도 몇 가지 중요한 과제가 남아있다. 트럼프 행정부의 일방적인 관세 공세는 여전히 큰 난관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한미 간 외환 스와프, 투자 대상 결정 참여, 이익 배분 합리화 등 한국 정부의 합당한 요구 관철이 시급하다. 또한, 10월 경주에서 개최될 APEC 정상회의를 성공적으로 준비하고, 이와 연계될 가능성이 있는 북핵 문제 해결 및 남북 관계 개선 방안 마련에도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이 AI 규범 형성 선도와 미래 성장 동력 확보라는 두 가지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과제들을 슬기롭게 헤쳐나가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