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가 AI 초지능(AGI/ASI) 시대를 맞이하기 위한 경쟁에 돌입한 가운데, 현재의 AI 모델 개발 방식과 인프라 구축만으로는 미래 경쟁력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특히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이 천문학적인 규모의 GPU를 갖춘 인프라 구축에 나서고 있으며, AI 모델 발전 속도가 몇 달 만에 선두가 바뀔 정도로 치열한 경쟁 구도를 형성하고 있다는 점은 이러한 우려를 더욱 증폭시킨다. 현재의 대규모 언어 모델 기반 사전 학습 및 강화 학습 방식이 과연 인간을 넘어서는 초지능을 실현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는 상황에서, 문제 해결 분석가인 한상기 테크프론티어 대표는 한국이 미래 AI 기술 확보를 위해 보다 전략적이고 유연한 접근을 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한상기 대표는 현재 한국이 추진 중인 세계 수준의 AI 모델 구축 및 국가 인프라 조성 노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이러한 노력이 궁극적으로 AI G3 수준 달성을 넘어설 수 있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진다. AI 모델의 발전이 단기간에 급변하는 상황에서, 현재의 접근 방식이 가진 한계를 지적하는 선구적인 AI 연구자들의 목소리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딥마인드의 제프리 힌턴 교수, 뉴욕대학의 얀 르쿤 교수, 몬트리올 대학의 요수아 벤지오 교수 등 세계적인 석학들은 물론, 알파고 개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던 데이비드 실버 또한 인간 데이터 학습의 시대를 넘어 AI가 스스로 세상을 경험하며 학습하는 시대로의 전환을 예고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AI의 근간을 이루는 트랜스포머 아키텍처와 같은 현재 기술을 넘어서는 새로운 시도와 혁신적인 연구의 등장을 시사한다.
따라서 한 대표는 현재의 기술 경쟁력 확보 노력과 더불어, 차세대 AI 기술 연구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전략적 지원이 시급하다고 역설한다. 앤스로픽의 다리오 아모데이나 오픈AI의 샘 알트먼 등은 빠르면 2027년, 늦어도 2030년에는 인간을 넘어서는 수준의 초지능이 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이미 메타는 초지능 연구소(MSL)를 설립하고 거액의 투자를 단행하고 있다. 오픈AI의 공동 창업자인 일리야 수츠케버 또한 20억 달러의 자금을 유치하여 안전 초지능 회사(SSI)를 설립하는 등, 미래 AI 기술 확보를 위한 경쟁이 전 세계적으로 가속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미국은 AI 실행 계획을 통해 AI 분야에서의 승리를 선언하고 국제 사회에 미국 중심의 AI 기술 수출을 의지를 드러냈으며, 중국 역시 국제 협력을 촉구하며 기술 패권을 노리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한국 역시 선택의 기로에 놓여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한 대표는 한국이 향후 5년간 100조 원에 달하는 AI 국가 전략 실행 자금 중 최소 1%라도 미래 AI 연구에 투자할 것을 제안한다. 이러한 투자는 단순히 현재 기술 숙련 과정을 넘어,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인재를 육성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초지능 연구에는 AI 전공자뿐만 아니라 철학자, 수학자, 언어학자, 뇌과학자, 물리학자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융합적으로 협력하는 통합적 연구 접근이 필수적임을 강조한다. 앤스로픽의 채용 사례처럼, 지능이라는 복잡한 문제를 다각도로 해결하기 위한 다학제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궁극적으로 한 대표는 한국이 AI 파운드리(데이터 센터)를 제공하여, 전 세계의 뛰어난 AI 연구자들이 마음껏 연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국가 초지능 연구소’ 설립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새로운 시각으로 디지털 지능에 접근하고, 궁극적으로 인류 전체의 공공재로 제공될 혁신적인 연구 결과물을 도출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국인을 포함한 세계적인 AI 연구자들을 초빙하여 이들이 자유롭게 연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야말로, 급변하는 AI 패권 경쟁 속에서 한국이 전략적 필수불가결성을 확보하고 미래를 선도할 수 있는 핵심 방안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