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고 풍성했던 연휴가 막을 내리면서, 어떻게 하면 남은 시간을 알차게 보낼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공연·전시 할인권 2차 배포’ 소식이 전해지며 잠시 잊고 있던 문화생활에 대한 기대를 높이고 있다. 하지만 단순히 할인권을 배포하는 것을 넘어, 실제 문화 향유율을 높이기 위한 제도적 개선이 이번 2차 배포의 핵심 과제라 할 수 있다.
문화체육관광부와 예술경영지원센터,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함께 9월 25일부터 36만 장의 공연 할인권과 137만 장의 전시 할인권을 배포하기 시작했다. 이 할인권은 12월 31일까지 관람 예정인 공연 및 전시에 적용 가능하며, 연말 성수기까지 문화생활을 풍요롭게 즐길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번 2차 할인권 배포는 1차 발행 시 제기되었던 문제점을 개선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1차 발행 당시 6주로 설정되었던 사용 유효기간은 발급 후에도 사용하지 않는 비율이 높아 실제 활용도를 낮추는 요인이 되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2차 할인권은 일주일의 사용 유효기간을 설정했으며, 남은 할인권은 매주 목요일마다 재발행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구체적으로 9월 25일부터 매주 목요일 오후 2시에 할인권이 발급되며, 발급받은 할인권은 다음 주 수요일 자정까지 사용해야 한다. 기간 내에 사용하지 않은 할인권은 자동 소멸하며, 매주 새롭게 발급되는 할인권을 활용하거나 다음 차시의 할인권을 발급받아 사용할 수 있다.
할인권은 네이버예약, 놀티켓, 멜론티켓, 클립서비스, 타임티켓, 티켓링크, 예스24 등 7개 주요 온라인 예매처에서 받을 수 있다. 전국 어디서나 사용 가능한 할인권의 경우, 공연은 1만 원, 전시는 3천 원이 인당 매주 2매씩 발급된다. 결제 건당 할인권 1매가 적용되며, 개별 상품 가격이 아닌 총 결제 금액을 기준으로 할인 혜택이 적용되므로 여러 장의 티켓을 구매하여 최소 결제 금액을 충족하면 할인권을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서울, 경기, 인천을 제외한 비수도권 지역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할인권은 공연 1만 5천 원, 전시 5천 원으로 더욱 폭넓은 혜택을 제공한다.
다만, 모든 공연 및 전시가 할인 대상은 아니다. 할인 적용 대상 공연 분야는 연극, 뮤지컬, 서양음악(클래식), 한국음악(국악), 무용 등이며, 대중음악과 대중무용 공연은 제외된다. 전시의 경우 전국 국·공립, 사립 미술관 등에서 진행되는 시각예술 분야 전시와 아트페어, 비엔날레가 대상이며, 산업 박람회 등은 제외된다.
이번 2차 할인권 배포는 제도의 실질적인 효과를 높여 국민들의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할 것으로 기대된다. 할인 혜택을 통해 부담 없이 공연과 전시를 관람함으로써, 길었던 연휴의 여운을 문화 예술을 통해 이어가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기회가 될 것이다. 매주 새롭게 발급되는 할인권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다채로운 문화 예술 경험을 만끽하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