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을 0.9%로 전망하며 지난 7월 전망치를 0.1%p 상향 조정했다. 또한, 내년 한국 경제는 올해보다 대폭 높은 1.8%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한국 경제가 내년에는 잠재 수준의 정상 성장 궤도로 복귀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된다.
이번 IMF의 ’10월 세계경제전망’ 발표는 여러 경제 주체들의 양호한 적응력과 글로벌 경제 환경 변화를 반영한 결과다. IMF는 미국의 관세 인하 및 유예 조치로 인한 불확실성 완화, 재고 조정 및 무역 경로 재편을 통한 경제주체들의 적응력 강화, 그리고 달러 약세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을 3.2%로, 내년은 3.1%로 기존 전망을 유지했다. 이러한 글로벌 경제 상황 속에서 한국 경제 역시 긍정적인 전망을 얻은 것으로 분석된다.
선진국 그룹의 경우, 올해 성장률은 1.6%로 지난 전망보다 0.1%p 높여 수정했으며, 내년 역시 1.6%로 기존 전망을 유지했다. 미국 경제는 관세 인하, 감세 법안 통과, 금융 여건 완화 등에 힘입어 올해와 내년 모두 0.1%p 상향된 각각 2.0%, 2.1% 성장이 예상된다. 한편, 신흥개도국 그룹은 올해 4.2%, 내년 4.0%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며, 특히 중국은 조기 선적과 재정 확장 정책에 힘입어 무역 불확실성 등의 부정적 영향을 희석시키며 올해와 내년 모두 기존 전망치인 4.8%, 4.2%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물가상승률은 전반적으로 하향세를 보이며 올해 4.2%, 내년 3.7%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는 인플레이션 압력이 점차 완화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그러나 IMF는 세계 경제의 리스크가 여전히 하방 요인에 기울어져 있다고 진단하며, 무역 불확실성, 이민 제한 정책으로 인한 생산성 악화, 재정 및 금융시장 불안, 그리고 AI 등 신기술에 대한 재평가 가능성 등을 주요 하방 요인으로 제시했다. 반면, 무역 갈등 완화, 각국의 구조 개혁 노력 가속, 그리고 AI 도입을 통한 생산성 향상은 세계 경제의 상방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러한 분석은 한국 경제 역시 글로벌 경제의 변동성에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시사하며, 향후 정책 방향 설정에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