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게임산업이 세계 3위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중대한 갈림길에 섰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15일 게임업체 크래프톤의 복합 문화 공간인 ‘펍지 성수’를 방문해 ‘세계 3위의 게임강국으로 레벨업’이라는 주제로 현장 간담회를 개최하며, 게임산업의 현재를 진단하고 미래 발전 방안을 모색했다. 이는 이 대통령이 주재한 첫 게임 관련 간담회로, 게임 산업을 국가의 중요한 문화 콘텐츠이자 미래 성장 동력으로 인식하려는 정부의 의지를 보여준다.
이번 간담회가 개최된 배경에는 게임 산업에 대한 기존의 부정적인 인식과 성장 잠재력 간의 괴리가 존재한다는 점이 자리한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번 간담회가 게임사 대표, 게임 음악·번역 전문가, 청년 인디게임사 대표, 게임인재원 학생 등 다양한 업계 관계자들의 생생한 목소리를 듣기 위해 마련되었다고 밝혔다. 이는 그동안 게임 산업이 겪어왔던 여러 어려움과 현장의 목소리를 정책에 반영하려는 시도로 풀이된다.
이 대통령은 간담회에 앞서 인공지능(AI) 기반 인생 시뮬레이션 게임인 ‘인조이’를 체험하며 게임의 몰입도와 창의적 가능성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게임 속 경제 시스템과 시간의 가치에 대한 질문은, 게임을 단순한 오락거리가 아닌 현실 경제와 유사한 복잡성을 지닌 산업으로 바라보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을 세계적인 문화산업 국가로 만들자”고 강조하며, 문화산업의 핵심으로서 게임 분야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더 나아가 이 대통령은 “게임에 대한 인식과 마인드 셋이 바뀔 필요가 있다”고 지적하며, 게임에 대한 몰입도를 산업적 관점에서 재인식하고 적극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한, 이를 통해 국부 창출과 일자리 마련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게임 산업의 잠재력을 국가 경제 발전의 핵심 동력으로 삼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게임 업계가 오랫동안 요구해 온 ‘탄력적 노동시간 운영’에 대해서는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이 대통령은 “양면이 있다”고 언급하며, 개발자와 사업자의 요구뿐만 아니라 고용된 노동자들이 혹여라도 소모품처럼 여겨져서는 안 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정책 판단의 문제로서 양측의 의견을 모두 반영하여 지혜롭게 해결해야 한다는 발언은, 노동자의 권익 보호와 산업 발전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으려는 균형 잡힌 시각을 보여준다.
이날 비공개 토의에서는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가 주변국과의 경쟁 심화 속에서도 AI 기술을 통해 작은 회사의 창의력을 증대할 기회가 생기고 있음을 강조하며 게임 산업 진흥의 필요성을 피력했다. 김정욱 넥슨 대표는 게임이 전략 품목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며 혁신을 통한 글로벌 진출을 위한 인식 개선의 중요성을 언급했다. 또한, 인디게임 업체 원더포션의 유승현 대표는 소규모 지원이라도 더 많은 팀에게 제공될 때 효과적일 수 있다는 현실적인 제안을 내놓았다.
이 대통령은 참석자들과 함께 노동시간 집약적인 작업의 효율성, 문화콘텐츠 수출에서 게임이 차지하는 비중, 미래 성장 가능성, 원작 저작권과 멀티 유즈(다양한 플랫폼에서의 활용) 여부 등을 꼼꼼히 점검했다. 이러한 심도 깊은 토론을 통해 지원 확충이나 규제 완화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게임 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데 집중했다. 이번 간담회는 게임 산업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 의지를 재확인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앞으로 대한민국 게임 산업이 ‘세계 3위 강국’으로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