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년 전 대만 여행 중 영수증을 복권으로 활용하는 제도를 경험한 후, 이를 한국에 적용해볼 상상을 했던 경험이 있다. 대만에서는 결제 시 영수증에 인쇄된 고유 번호로 2개월마다 최대 약 4억 원의 상금을 지급하는 추첨 행사를 진행하며, 이를 통해 탈세 방지와 소비 촉진 효과를 동시에 거두고 있다고 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한국에서도 영수증 복권과 유사한 방식의 ‘상생소비복권’ 정책이 시행되며 민생 경제 활성화에 대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최근 정부는 민생 경제 회복을 목표로 다양한 소비 진작 정책을 발표했으며, 그중 ‘상생소비복권’은 국민들이 헷갈리지 않고 정책에 참여할 수 있도록 고안된 제도이다. 이 복권 제도는 9월부터 시행된 ‘상생페이백’과 연계되어 운영된다. ‘상생페이백’은 본인 명의의 국내 신용·체크카드 사용자를 대상으로, 작년(2024년) 대비 올해 9월부터 11월까지의 소비 증가분에 대해 온누리상품권을 환급해 주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신청은 9월 15일부터 시작되어 25년 11월 30일까지 가능하다.
‘상생소비복권’은 ‘상생페이백’ 신청 시 자동으로 응모되는 방식으로, 8월 1일부터 10월 12일까지의 누적 결제액을 기준으로 5만 원당 1장의 쿠폰이 지급되며, 1인당 최대 10장까지 응모할 수 있다. 정부는 이 복권을 통해 총 2,025명을 추첨하여 10억 원 규모의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을 지급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는 1등 10명에게 각 2천만 원, 2등 50명에게 200만 원, 3등 600명에게 100만 원, 4등 1,365명에게 10만 원의 상금이 주어진다. 특히 1등 당첨의 경우, 비수도권 지역에서 5만 원 이상 소비 실적이 있어야 하는 조건이 있다.
이번 ‘상생소비복권’은 내수 및 지역 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하므로, 대형마트, 백화점, 유흥업소, 온라인 거래, 프랜차이즈 직영점 등에서의 소비 금액은 인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정책들은 국민들의 일상적인 소비를 유도하고, 소비가 특정 지역이나 소상공인에게 흘러갈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마침 학교 근처 마트와 전통시장에서 필요한 물건을 구매하는 과정에서 ‘상생소비복권’ 응모 조건인 5만 원을 훌쩍 넘겨 소비하게 되었다. 지역 전통시장의 한 상인은 소비쿠폰 지급 직후 손님이 다소 늘어난 듯했으나 월말 정산 시 큰 차이는 없었다고 전하면서도, 9월부터 시행되는 ‘상생페이백’과 ‘상생소비복권’ 정책을 통해 추석을 전후로 경기가 살아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정부의 어려운 경제 살리기 의지가 돋보이는 가운데, 9월 시작되는 2차 소비쿠폰과 더불어 ‘상생페이백’, ‘상생소비복권’이 대한민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올가을, 국민들의 마음과 대한민국 경제 모두 풍성한 한가위가 되기를 바라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