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유명인의 갑작스러운 죽음은 우리 사회에 큰 슬픔과 충격을 안겨주었다. 개인적인 친분은 없었지만, 한때 친절하게 대화를 나눴던 기억이 있는 사람의 안타까운 소식에 한동안 마음이 무거웠다. SNS에는 그를 추모하는 공간이 마련되었고, 그중 한 팬이 남긴 “아무 일도 손에 잡히지 않아 따라가고 싶다”는 글은 많은 이들의 가슴을 울렸다. 곧이어 “고인은 이런 일을 절대 원치 않을 거예요”, “상담을 받아보면 어떨까요?”라는 따뜻한 권유의 댓글이 이어졌고, 다행히 글을 쓴 사람은 “순간적인 마음에 잘못 생각했다”고 답했다. 이 작은 에피소드는 주변의 작은 관심과 적절한 개입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다시 한번 일깨워주었다.
이러한 안타까운 사건들이 반복되는 배경에는, 개인이 겪는 극한의 고통과 이를 사회적으로 예방하고 지원하는 시스템의 미흡함이라는 복합적인 문제가 놓여 있다. 단순히 개인의 문제를 넘어, 사회 전반의 관심과 노력이 절실한 시점이다.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지난 9월 11일, 자살 예방 주간(9.10.~9.16.)을 맞아 서울 용산역에서는 보건복지부와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이 주최하고 대학(원)생으로 구성된 ‘같생 서포터즈’ 학생들이 기획 및 운영한 ‘2025 같이 살자, 같생 서포터즈 박람회’가 열렸다. 이 박람회는 무거운 주제인 자살 문제의 심각성을 알리고, 실질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을 쉽고 재미있게 전달함으로써,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희망의 손길을 내밀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번 박람회는 자살 예방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고, 필요한 자원과 정보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적극적인 솔루션을 제시했다. 특히 ‘온정(溫情) 109’ 부스에서는 자살 예방 상담 전화 109와 SNS 상담 창구 ‘마들랜’을 집중적으로 홍보했다. ‘109’는 ‘한(1) 명의 생명도 자살 없이(0) 구(9)하자는 의미’를 담고 있는 24시간 운영되는 전문 상담 전화번호로, 누구나 부담 없이 도움을 요청할 수 있도록 안내되었다. 또한 ‘마들랜’은 ‘마음을 들어주는 랜선 친구’라는 뜻으로, SNS를 통해 언제 어디서든 편안하게 상담을 받을 수 있는 채널임을 강조했다. 더 나아가, 자살 사후 대응 서비스의 일환으로 중요한 개념인 ‘심리부검’에 대한 설명도 퀴즈와 게임을 통해 흥미롭게 전달되었다. 심리부검은 고인이 왜 자살에 이르렀는지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유족과의 면담, 유서 등 기록 검토를 통해 사망에 영향을 미친 다양한 요인을 살펴보는 체계적인 조사 방법이다. 이는 유족이 전문가와 함께 고인의 삶을 되짚어보는 과정에서 건강한 애도를 돕고, 나아가 앞으로의 자살을 예방하는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 있는 접근이다.
정부 또한 이러한 사회적 문제 해결을 위해 적극적인 정책 추진 의지를 보이고 있다. 지난 9월 12일, 제9차 자살예방정책위원회를 통해 ‘2025 국가 자살 예방 전략’이 발표되었다. 이 전략은 2034년까지 현재 10만 명당 28.3명 수준의 자살률을 17.0명 이하로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자살 시도자와 유족을 포함한 고위험군 집중 관리, 기관 간 연계 체계 구축 등을 주요 내용으로 심의·의결하였으며, 내년도 관련 예산을 708억 원으로 대폭 증액할 계획이다. 이러한 정부의 정책적 지원과 ‘같생 서포터즈’와 같은 현장의 노력이 더해진다면, ‘죽고 싶다’는 말 속에 숨겨진 ‘살고 싶다’는 마음과 ‘도와달라’는 절박한 외침에 우리 사회가 더욱 귀 기울일 수 있을 것이다.
궁극적으로, ‘심리부검’과 같이 죽음의 원인뿐만 아니라 남겨진 이들의 아픔까지 보듬는 정책들이 더욱 널리 알려지고 필요한 사람들에게 온전히 닿기를 기대한다. 이러한 다각적인 노력들이 모여, 더 이상 안타까운 죽음이 반복되지 않는 건강하고 생명 존중의 사회로 나아가기를 간절히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