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의 환경호르몬 독성 평가 방식은 동물실험을 통해 난자나 수정란을 채취해야 한다는 명확한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이는 윤리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과학적인 연구 과정에서도 제약을 야기하며, 보다 신뢰할 수 있고 효율적인 대안 마련의 필요성을 증대시켜왔다. 이러한 문제 의식 속에서 건국대학교 첨단바이오공학부 도정태 교수 연구팀이 동물 난자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혁신적인 환경호르몬 독성 평가 플랫폼 개발에 성공하며 주목받고 있다.
연구팀은 줄기세포만을 활용하여 ‘인공배반포(blastoid)’를 제작하는 기술을 구현했다. 이 인공배반포를 이용해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환경호르몬인 ‘비스페놀 A(BPA)’의 배아 독성을 평가하는 데 성공했으며, 이는 그동안의 연구 방식이 가지고 있던 윤리적, 과학적 난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 연구 결과, 비스페놀 A가 인공배반포의 형성과 체외 착상 과정을 모두 억제하며, 이 과정에서 세포 내 활성산소(ROS) 증가로 인한 산화 스트레스가 주요 원인임을 밝혀냈다. 더 나아가 항산화제인 글루타치온(GSH)을 처리했을 때 독성 효과가 회복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독성 기전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더했다.
이번 연구는 동물 난자 사용 없이도 초기 배아 발달 단계에서의 독성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윤리적, 과학적 의의가 매우 크다. 이를 통해 향후 환경호르몬뿐만 아니라 다양한 인체 유해 물질에 대한 비임상 독성 평가 및 생식독성 연구 분야에서 동물실험을 대체할 수 있는 강력한 플랫폼으로 발전할 것으로 기대된다. 건국대 연구팀의 이러한 성과는 환경과학과 생식의학 분야 모두에서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며, 보다 윤리적이고 과학적인 연구 환경을 조성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