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소통이 활발해지면서 ‘밈(meme)’과 함께 각종 신조어들이 빠르게 등장하고 사라지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맞춤법을 무시한 채 재미로 만들어진 표현부터 MZ세대조차 이해하기 어려운 낯선 표현까지, 무분별하게 쏟아지는 언어의 홍수 속에서 한글의 올바른 사용에 대한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대학생 연합 동아리 <우리말 가꿈이>는 다가오는 10월 9일 한글날을 맞아, 한글의 소중함과 아름다움을 되새기고 바른 언어 사용 문화를 확산시키기 위한 기념행사를 개최했다.
지난 2025년 10월 9일 목요일, 올림픽공원 피크닉장에서는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 <우리말 가꿈이>가 주최한 한글날 기념행사가 진행되었다. 잔디밭 위에 설치된 부스에서는 우리말 겨루기, 공공언어 개선 캠페인, 사투리 퀴즈, 사진 체험관 등 우리말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돕는 다채로운 프로그램들이 마련되었다. 이번 행사는 그동안 대학생들이 주최하는 행사에 참여한 경험이 없었던 참석자들에게도 생각보다 훨씬 자유롭고 편안한 분위기 속에서 우리말의 의미를 되새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행사의 주요 프로그램 중 하나는 <사투리 어디까지 알아?> 부스였다. 참가자들은 우리나라 지도 위에 자신이 알고 있는 사투리나 고향 사투리를 직접 적어보는 체험을 통해 지역별 사투리의 다양성을 인지하고, 평소 무심코 지나쳤던 고향의 언어에 대한 흥미를 느꼈다. 또한, <열쇠고리랑 엽서랑> 부스에서는 원하는 순우리말을 골라 엽서를 꾸미는 활동을 통해 아름다운 우리말의 의미를 다시금 곱씹어보는 시간을 가졌다. <우리말 겨루기> 부스에서는 올바른 문장을 선택하는 퀴즈를 통해 참여자들이 자연스럽게 우리말 실력을 점검할 수 있었으며, 정답을 맞힌 참가자들에게는 휴대용 물티슈를 제공하는 혜택도 주어졌다.
더불어 <우리말 가꿈이랑 친구맺자> 부스에서는 한글의 근본적인 의미를 탐구하는 시간을 가졌다. ‘한글에서 ‘한’은 무엇을 의미할까?’와 같은 질문을 통해 단어 자체의 깊은 뜻을 되새기며, 단순히 글자를 아는 것을 넘어 한글의 진정한 가치를 이해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사랑하자 공공언어> 부스에서는 ‘인스타그램 스토리에 나 태그해 줘’와 같은 일상적인 표현을 올바른 우리말로 바꾸는 연습을 통해, 우리가 무의식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외래어를 우리말로 대체하는 습관을 기르도록 독려했다. 이러한 활동들은 일상에서 외래어를 모국어처럼 자연스럽게 사용하고 있음을 깨닫게 하고, 우리말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표현이 존재함을 재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모든 부스를 체험하고 운영 부스에서 도장 5개를 모두 모은 참가자들에게는 파우치가 선물로 증정되었다. 처음에는 어린이들이 주로 찾을 것이라고 예상했던 행사였지만, 실제로는 다양한 연령대의 사람들이 참여하며 우리말에 대한 관심을 공유하는 장이 되었다. 올림픽공원이라는 지리적 이점 덕분에 행사에 참여한 후 공원을 가볍게 둘러보기에도 좋았다.
이번 행사를 통해 <우리말 가꿈이>는 한글을 아끼고 보존하려는 20대 청년들의 노력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움직임은 글을 쓰는 사람으로서 작가에게도 큰 위로가 되었으며, 앞으로 글쓰기 활동을 통해 우리말을 더욱 깊이 탐구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하겠다는 다짐을 하게 했다.
한편, 이번 기념행사는 2025년 10월 한 달간 전국 22곳의 국어문화원에서 국어문화원 및 우리말 가꿈이 주관으로 다양한 형태로 열릴 예정이다. 행사의 정확한 장소와 날짜는 변동될 수 있으므로 사전에 확인 후 참여하는 것이 권장된다. 이번 행사를 통해 평상시에도 한글을 올바르게 사용하고 지키는 문화가 조속히 형성되기를 바라며, 내년에 다시 돌아올 한글날을 손꼽아 기다려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