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휴가 길어지면서 알찬 문화생활에 대한 갈증을 느끼는 이들이 많아졌다. 이러한 상황에서 문화체육관광부와 예술경영지원센터,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9월 25일부터 ‘공연·전시 할인권 2차 배포’를 시작하며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하고 나섰다. 이번 할인권 배포는 길어진 연휴를 더욱 풍요롭게 만들고, 그동안 바쁘다는 이유로 문화생활을 즐기지 못했던 국민들에게 활력을 불어넣고자 하는 정책적 배경에서 출발했다.
구체적으로 이번 2차 공연·전시 할인 쿠폰은 총 36만 장의 공연 할인권과 137만 장의 전시 할인권으로 구성된다. 1차 발행 당시와는 달리, 이번 2차 배포는 실사용률을 높이기 위해 할인권의 사용 유효기간을 일주일로 설정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사용 기간 내에 사용하지 않은 할인권은 매주 목요일마다 재발행하여 국민들이 보다 편리하게 할인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했다. 할인권은 9월 25일부터 12월 31일까지 관람 예정인 공연 및 전시에 적용 가능하며, 매주 목요일 오후 2시에 발급된다. 발급받은 할인권은 해당 주 수요일 자정까지 사용해야 하며, 기간이 만료되면 자동 소멸된다.
이 할인권은 네이버예약, 놀티켓, 멜론티켓, 클립서비스, 타임티켓, 티켓링크, 예스24 등 7개 주요 온라인 예매처를 통해 발급받을 수 있다. 온라인 예매처별로 공연 할인권은 1만 원, 전시 할인권은 3천 원이 매주 1인당 2매씩 발급되며, 결제 1건당 할인권 1매가 적용된다. 특히, 할인권은 총 결제 금액을 기준으로 할인되기 때문에 개별 티켓 가격이 할인권 금액보다 낮더라도 여러 장의 티켓을 구매하여 최소 결제 금액 이상을 충족하면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지역별로는 서울, 경기, 인천을 제외한 전국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할인권도 별도로 제공된다. 이 지역 할인권은 공연 1만 5천 원, 전시 5천 원으로, 역시 매주 1인당 2매씩 발급된다. 다만, 할인 적용 대상은 제한이 있다. 공연 분야에서는 연극, 뮤지컬, 서양음악(클래식), 한국음악(국악), 무용 등이 포함되지만 대중음악과 대중무용은 제외된다. 전시 분야에서는 국·공립 및 사립 미술관 등에서 진행되는 시각예술 분야 전시와 아트페어, 비엔날레가 적용 대상이며 산업 박람회 등은 제외된다.
이번 2차 할인권 배포는 문화생활의 접근성을 높여 국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침체된 문화예술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문화 향유 기회가 확대됨에 따라, 국민들은 길어진 연휴를 더욱 다채롭고 의미있게 보낼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