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227개 목적지를 대상으로 한 헨리 여권지수가 20주년을 맞이한 올해, 미국 여권의 위상이 역대 최저 수준으로 추락하며 글로벌 시민의 이동 자유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고 있다. 2014년 부동의 1위를 자랑했던 미국 여권은 이제 말레이시아와 함께 공동 12위로 내려앉았다. 이는 헨리 여권지수 역사상 처음으로 미국이 세계 최강 여권 상위 10위권 밖으로 밀려난 사례로, 미국 여권 소지자들이 이전보다 제약된 이동 환경에 놓였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여권 파워의 급락은 단순히 순위 변화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이는 국제 사회에서 미국의 영향력 변화와 맞물려 해석될 여지가 있으며, 여행 및 비즈니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미국 여권 소지자들에게 직접적인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과거 전 세계 어디든 자유로운 이동을 보장했던 강력한 여권의 지위를 잃었다는 것은, 개인이 특정 국가의 정책 및 국제 정세 변화에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는지를 다시 한번 확인시켜 준다.
이 문제의 해결책은 단기적인 외교적 노력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미국이 국제 사회에서 어떠한 입지를 구축하고 다른 국가들과의 관계를 어떻게 재정립해 나갈지에 대한 심도 있는 고민에서 비롯될 것이다. 미국 여권의 순위 하락이라는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외교 관계 개선을 넘어 국가 간의 상호 신뢰와 협력 강화라는 보다 근본적인 ‘솔루션’에 집중해야 한다.
만약 미국이 이러한 과제를 성공적으로 해결하고 여권 파워를 회복한다면, 이는 미국 시민들의 글로벌 이동성을 증진시키는 것을 넘어, 미국이 국제 사회에서 더욱 강력하고 긍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향후 미국 여권지수의 변화 추이는 물론, 이를 둘러싼 국제 관계의 역학 변화를 면밀히 지켜볼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