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더웠던 여름, 서울프레스센터를 지나다 만난 ‘2025 대한민국 농업박람회’ 팝업 부스는 우리 식탁의 근간인 농업이 직면한 다양한 문제와 이를 해결하려는 정부의 노력을 엿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팝업 부스에서의 키링 만들기 체험과 감자 홍보 행사는 흥미로웠지만, 이는 빙산의 일각에 불과했다. 키오스크 설문을 통해 개인의 관심사에 맞는 주제관을 추천받을 수 있었지만, 박람회 현장에서 직접 정책을 살피고 농업의 현실을 이해하는 것과는 분명한 차이가 있었다. 단순히 감자를 소비하는 것을 넘어, 그 뒤에 숨겨진 농업 정책의 중요성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이번 취재는 ‘2025 대한민국 농업박람회’가 어떻게 우리 농업의 난제를 해결하고자 하는지를 심층적으로 조명한다.
지난 9월 25일부터 28일까지 서울 양재 aT센터에서 개최된 ‘2025 대한민국 농업박람회’는 ‘농업과 삶’, ‘농업의 혁신’, ‘색깔 있는 농업’, ‘활기찬 농촌’이라는 네 가지 주제관을 통해 정책을 소개하며 우리 농업이 마주한 다양한 문제들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
먼저 ‘농업과 삶’ 주제관에서는 국민 생활과 역사에 깊숙이 뿌리내린 농업의 가치를 조명하며, 우리가 무심코 소비하는 농산물 속에 담긴 다양성과 정책적 지원의 중요성을 일깨웠다. 특히 올해의 농산물인 감자는 ‘서홍’, ‘골든에그’와 같은 다양한 품종뿐만 아니라 감자를 활용한 수제 맥주, 화장품 등 다채로운 모습으로 소개되었다. 이는 단순히 식재료를 넘어 농산물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새로운 산업을 창출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또한, 공익 직불제와 같이 농업인이 아니면 생소할 수 있는 정책에 대한 현장 설명을 통해 그 중요성과 가치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왔다. 축산물품질평가원 부스에서는 꿀 등급제에 대한 설명이 있었는데, 이는 소비자들에게 신선도와 저장성 등 8가지 항목으로 평가된 국내산 천연 벌꿀을 QR코드와 유통관리번호를 통해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안심하고 구매할 수 있도록 돕는 제도이다. 이는 소비자의 알 권리를 충족시키고 우리 농산물에 대한 신뢰를 높이는 중요한 정책이다. 우리 쌀 역시 강원도 오대산 쌀, 충남 삼광 쌀, 전남 새청무쌀 등 지역별 품종의 특징과 그에 맞는 요리법이 소개되어, 소비자들이 쌀을 단순히 밥으로만 생각하는 것을 넘어 다채로운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유도했다. 도정 일자와 단일 품종 확인의 중요성을 알게 된 것은 앞으로 쌀을 구매할 때 소비자들이 고려해야 할 중요한 기준이 될 것이다.
‘농업의 혁신’관은 첨단 기술이 농업과 결합하여 미래 농업의 새로운 지평을 열고 있음을 보여주며, 생산성 향상과 품질 관리의 어려움이라는 문제를 해결할 솔루션을 제시했다. 인공지능 선별 로봇은 0.1초 만에 상처 난 과일을 골라내며, 사람이 17개를 선별할 때 43개를 처리하는 놀라운 속도를 자랑했다. 이는 수작업에 의존하는 기존 방식의 비효율성을 극복하고 품질 균일성을 확보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품종 개발을 위한 과실 특성 조사’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배의 당도를 측정하는 과정은 참가자들에게 농업 생산 과정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제공했다. 과일의 무게, 길이, 품종명과 같은 외관 특성 조사와 과즙을 통한 당도 측정 과정을 직접 체험함으로써, 소비자들이 단순히 맛으로만 과일을 판단하는 것을 넘어 과학적 데이터를 통해 농산물의 품질을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소비자와 생산자 간의 소통을 강화하고, 고품질 농산물 생산을 촉진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색깔 있는 농업’관은 K-푸드를 비롯한 도시농업, 화훼 등 다채로운 농업의 모습을 선보이며 농업의 새로운 가능성과 문화적 가치를 조명했다. 캔에 담긴 홍어와 같은 기발한 아이디어는 농업 분야의 창의적인 시도가 어떻게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좋은 사례이다. 이는 농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활기찬 농촌’관은 농촌 소멸 위기라는 심각한 문제에 직면하여, 이를 극복하고 농촌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정부의 정책과 아이디어들을 집중적으로 선보였다. 특히 ‘농촌 빈집은행’ 정책은 지난해 기준 7만 8천 95곳에 달하는 농어촌 빈집 문제를 해결하고 귀농·귀촌 희망자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는 방안으로 주목받았다. 빈집 소유자와 귀농·귀촌 희망자를 공적으로 연결하고 기관이 관리와 운영을 돕는 이 정책은, 참여가 쉬운데다 노후화된 빈집 수리비 지원까지 받을 수 있어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낯선 지역에서 빈집을 찾기 어려운 현실적인 어려움을 해소하고, 농촌 지역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어 ‘떠나는 곳’이 아닌 ‘돌아오는 곳’으로 만들어가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5 대한민국 농업박람회’는 이처럼 우리 농업이 직면한 다양한 문제들을 명확히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정책과 혁신적인 아이디어들을 총망라하여 제시했다. 농업 기술의 발전, 품목별 특화 전략, 그리고 농촌 활성화를 위한 실질적인 정책들은 K-농업의 역동적인 현재와 미래를 명확히 보여주었다. 이러한 정책들이 성공적으로 적용된다면, 우리는 더욱 안전하고 풍요로운 먹거리를 확보하고, 지속 가능한 농업 생태계를 구축하며, 활기찬 농촌을 되살릴 수 있을 것이다. 국민 모두의 농업에 대한 작은 관심들이 모여 대한민국 농업의 강력한 성장 동력이 되어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