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급변하는 사회 환경 속에서 인간 본연의 가치와 성찰을 탐구하는 인문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인문학은 종종 어렵고 멀게 느껴지기 쉬우며, 특히 젊은 세대에게는 더욱 그러하다. 이러한 간극을 좁히고, 일상 속에서 인문학적 소양을 함양할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문화예술위원회와 한국도서관협회가 공동 주관하는 ‘길 위의 인문학’ 사업이 전국 도서관을 넘어 독립 서점으로까지 확산되며 주목받고 있다. 서울 마포구에 위치한 독립 서점 ‘가가77페이지’는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영화로 보는 인문학>‘ 프로그램을 선보이며 지역 문화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이번 ‘길 위의 인문학’ 프로그램은 인문학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친숙한 매체인 영화를 적극 활용하는 방식으로 기획되었다. 가가77페이지의 이상명 대표는 “인문학의 궁극적인 목적은 단순 지식 전달이 아닌, 생각할 수 있는 밭과 이해할 수 있는 마음의 밭을 넓히는 데 있다”고 강조하며,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 인문학적 주제들을 영화와 철학, 문학 서적을 통해 깊이 있게 다루고자 했다. 특히, 선정된 영화의 연령 제한을 12세 이상(일부 영화 15세 이상)으로 낮춰 폭넓은 연령층이 참여할 수 있도록 배려했으며, 이는 인문학이 특정 계층만을 위한 학문이 아니라 누구나 향유할 수 있어야 한다는 철학을 반영한다.
프로그램은 7월 21일(월)부터 총 10회에 걸쳐 진행되며, 이지혜 영화평론가와 이인 작가가 공동으로 강연을 이끌고 있다. 1회차에서는 영화 <죽은 시인의 사회>를 상영한 후, ‘자아 탐구와 교육의 본질’이라는 주제로 참여자들과 함께 깊이 있는 사유의 시간을 가졌다. 영화의 명대사 ‘카르페 디엠(현재를 즐겨라)’처럼, 참여자들은 각자의 삶에서 진정으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성찰하며 자신만의 ‘Carpe Diem 선언문’을 작성하는 등 적극적인 참여를 보였다. 이러한 활동은 참여자들이 영화를 단순한 오락으로 소비하는 것을 넘어, 작품 속 메시지를 자신의 삶에 투영하고 성찰하는 계기를 제공한다.
이상명 대표는 ‘길 위의 인문학’ 사업이 도서관뿐만 아니라 서점에서도 열린다는 점을 인지하게 된 것이 사업 신청의 계기였다고 밝혔다. 그는 “제가 듣고 싶은 선생님들의 강연을, 제가 원하는 방향으로 듣고 싶은 방법이 없을까 고려했을 때 ‘길 위의 인문학’이 좋은 선택지가 되어주었다”고 말하며, 프로그램에 대한 기대를 드러냈다. 또한, 인공지능 발전으로 인문학이 위기를 맞고 있다는 세간의 우려에 대해 오히려 AI 시대일수록 인문학적 사고의 중요성이 더욱 커진다고 역설했다. “AI가 발전할수록 인문학을 활용할 수 있는 영역은 커진다. 얼마나 잘 구조화된 명령 체계로 AI를 활용하느냐에 따라 효용성은 달라질 수 있는데, 이러한 사고 체계를 구조화하는 근원이 인문학이다”라고 설명하며, 인문학적 사고가 AI와 접목될 때 효율성과 합리성을 넘어 도덕적 사고까지 가능하게 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한편, ‘길 위의 인문학’ 프로그램 참여자인 박근주 씨는 SNS를 통해 동네 서점의 소식을 접하다 가가77페이지에서 진행하는 프로그램을 알게 되었다고 밝혔다. 그는 “단순히 영화와 책을 감상하는 것을 넘어, 그 속에 담긴 인문학적 사유를 제 삶에 연결해보고 싶었다”며, “일상의 반복적인 흐름에서 벗어나 강연자 및 다른 참여자들과 소통하며 삶의 리듬감을 느끼고 싶다”고 프로그램 참여 의사를 전했다. 그는 또한 ‘길 위의 인문학’ 프로그램이 일회성으로 끝나지 않고 지속적으로 이어져, 짧은 기간의 지식이 아닌 꾸준한 성찰과 대화를 통해 깊어지는 인문학의 특성을 살릴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길 위의 인문학’ 사업은 ‘우리 동네에서 인문학을 만나다’라는 표어 아래, 인문학과 지역 문화, 책과 길, 저자와 독자, 공공도서관과 지역 주민을 잇는 새로운 독서 문화의 장을 만들어가고 있다. 가가77페이지와 같은 독립 서점에서의 프로그램 운영은 동네 책방을 단순한 책 판매 공간을 넘어 복합 문화 공간으로 활성화하는 가능성을 보여주며, 지역 사회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이 전국 곳곳에서 꾸준히 이어진다면, 우리는 더욱 풍요로운 인문학적 삶과 건강한 지역 문화를 만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