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와 한글이 단순한 언어를 넘어 K-문화의 근간이자 전 세계와 소통하는 중요한 매개체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제579돌 한글날 경축식에서 이러한 한글의 위상을 재확인하며, 앞으로 더욱 많은 세계인이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배울 수 있도록 지원을 확대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현재 전 세계 87개국에 설치된 세종학당에는 14만 명이 넘는 외국인이 한국어를 배우고 있으며, 이를 통해 한국 문화를 자연스럽게 접하고 있다. 이는 한글이 더 이상 대한민국만의 문자가 아닌, 세계적인 문화 교류의 도구가 되었음을 보여주는 방증이다. 김 총리는 이러한 흐름을 이어가기 위해 바르고 쉬운 우리말 쓰기 문화 확산을 지원하고, 세종학당을 더욱 확대할 계획임을 발표했다. 또한, 한글의 창의성을 활용한 상품 개발, 전시, 홍보에도 적극적으로 나서 글로벌 시장에서의 한글 활용도를 높여나갈 방침이다.
김 총리는 한글이 가진 독보적인 가치를 강조하며, “한글은 창제 원리와 시기, 창제자가 분명히 알려진 세계에서 유일한 문자이며, 세계의 학자들은 한글을 인류의 가장 빛나는 지적 성취의 하나로 평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러한 한글의 우수성은 세종대왕의 백성을 향한 깊은 사랑과 혁신의 정신에서 비롯되었다는 점도 언급했다. “말하고자 하는 바가 있어도 제 뜻을 펴지 못하는 사람이 많아 새로 스물여덟 글자를 만든다”는 훈민정음 머리글에 담긴 세종대왕의 인간적인 마음은 유네스코의 ‘유네스코 세종대왕 문해상’ 수여로 이어져 전 세계 문맹 퇴치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일제 강점기라는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주시경 선생의 한국어 연구와 조선어학회 회원들의 헌신적인 노력으로 한글이 민족 정신의 버팀목이 될 수 있었던 선조들의 노력을 기억해야 함을 강조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 위에서 한국어와 한글은 K-팝의 가사, 드라마와 영화의 섬세하고 풍부한 표현력을 통해 전 세계 팬들과 소통하는 K-문화의 핵심 동력이 되고 있다. 유튜브와 소셜미디어를 통해 한국어를 배우고 한국 문화를 즐기는 세계 젊은이들의 모습은 이제 매우 익숙한 풍경이 되었다.
앞으로 정부는 한국어와 한글이 문화를 공유하고 미래를 이끄는 말과 글이 되도록 다양한 매체를 통해 바르고 쉬운 우리말 쓰기 문화를 확산시킬 계획이다. 특히 인공지능 시대를 선도하기 위해 한국어 기반의 언어 정보 자원 구축을 확대하고, 다가오는 APEC에서도 한글을 비롯한 한국 문화의 우수성과 창의성을 세계에 널리 알리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선보일 예정이다. 이러한 노력들은 한글이 가진 고유한 가치와 문화적 힘을 바탕으로 미래 사회에서 더욱 빛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만들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