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적 기념일을 앞두고 개최되는 행사는 종종 사회적 통합의 부재나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이라는 그림자에 가려지곤 한다. 올해 제4357주년 개천절 경축식 또한 이러한 맥락에서, 단순한 기념식을 넘어 국가의 근본 정신을 되새기고 미래에 대한 희망을 공유하려는 행정안전부의 노력이 엿보이는 행사로 평가된다. 오는 3일 오전 10시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리는 이번 경축식은 국가 주요 인사, 정당·종단대표, 주한 외교단, 개천절 관련 단체, 각계 대표, 시민 등 1200여 명이 참석하는 대규모 행사로 기획되었다.
이번 경축식은 ‘우리의 빛 더 멀리 더 널리’라는 주제를 통해, 단순한 국가의 탄생을 기념하는 것을 넘어 대한민국이 추구하는 ‘홍익인간’ 정신이 국내를 넘어 전 세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를 바라는 염원을 담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행사는 공연을 시작으로 국민의례, 개국기원 소개, 주제영상 상영, 경축사, 경축공연, 개천절 노래 제창, 만세삼창 등의 순서로 구성되어, 대한민국의 역사적 뿌리부터 미래 비전까지 포괄하는 메시지를 전달할 예정이다.
먼저, 개식공연에서는 핸즈 코레오그라피 퍼포먼스와 전통악대 연주를 통해 대한민국의 시작, 비상, 성장, 그리고 미래를 시각적, 청각적으로 표현하며 행사의 서막을 연다. 국민의례는 서울시국악관현악단의 연주로 진행되며, 특히 국기에 대한 맹세문 낭독은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현지 아이를 구한 최재영 씨가 맡아, 국경을 초월한 인류애와 용기를 보여준 시민의 실천을 통해 국민의례의 의미를 더욱 깊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
주제영상은 ‘홍익인간’ 정신이 현대 사회에서 전통, 상상, 책임, 문화, 연대의 형태로 어떻게 이어지고 있으며, 대한민국을 넘어 세계를 이롭게 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아, 추상적인 정신이 구체적인 실천으로 구현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어서 선보일 다채로운 경축공연은 우리 민족의 뿌리와 희망을 공유하는 자리가 될 것이다. 서울시국악관현악단은 고려와 조선 궁중 의식에서 연주된 아악과 민속악을 바탕으로 한 연주곡 ‘단군신화’를 선보여 민족의 역사적 정체성을 고취한다. 우리다문화어린이합창단은 희망과 화합을 주제로 한 노래 ‘무지갯빛 하모니’를 통해 함께 살아가는 세상을 향한 따뜻한 메시지를 전달하며, 인기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 OST로 사랑받은 ‘청춘가’를 퓨전국악 아티스트 추다혜 차지스가 열창하며 경축공연을 마무리한다.
특히, 만세삼창은 일본에서 인천으로 오는 비행기 안에서 뇌전증 환자를 응급 조치하여 목숨을 구한 김지혜 간호사, 지난해 국제정보올림피아드 금메달 수상자인 김은성 학생, 그리고 이건봉 현정회 이사장이 선창함으로써, 위기 상황에서의 헌신, 미래 세대의 성취, 그리고 국가적 정체성을 이끄는 리더십 등 다양한 분야에서 대한민국의 희망을 상징하는 인물들이 함께 참여하여 의미를 더한다.
이번 개천절 경축식은 세종문화회관에서의 본 행사 외에도, 지방자치단체, 재외공관 등에서도 개천절 관련 자체 경축식, 전통제례행사, 문화공연을 개최하며, 총 3만 8000여 명이 각지에서 참여하는 전국적인 행사로 진행된다. 또한, 행정안전부는 국군의 날, 개천절, 한글날을 맞이하여 각 기관 누리집, 지자체 소식지 등을 통해 ’10월 나라사랑 태극기 달기 운동’을 전개하며 국민적 애국심 고취에도 힘쓸 예정이다. 이러한 전국적인 참여와 다양한 활동들은 ‘홍익인간’ 정신이 현대 사회에서 국가 통합과 미래 희망을 향한 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