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인해 행정 시스템 운영에 차질이 빚어지면서 국민들의 불편이 가중되고 있다. 이에 정부는 복구 속도를 높이고 행정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119안전신고와 국가기록포털 등 110개 시스템 복구에 집중하며 지자체 온라인 상담도 재개하는 등 불편 해소에 나서고 있다.
이번 행정정보시스템 장애는 추석 연휴를 앞둔 시점에서 발생하여 국민들의 불안감을 증폭시켰다. 윤호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행정안전부 장관)은 중대본 회의를 통해 “추석 연휴를 앞두고 여전히 국가 행정전산망 장애로 불편과 걱정을 끼쳐드려 송구하다”며 머리를 숙였다. 그는 이어 “필수적인 행정서비스부터 차질 없이 운영될 수 있도록 복구에 최우선 순위를 두고 있다”고 밝혔다.
정부는 복구 속도 향상을 위해 민간 전문가와 연구기관 인력을 현장에 투입하고 예비비를 지원하는 등 가용한 모든 자원을 총동원하고 있다. 또한, 시스템 중단으로 인한 행정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능한 대체 수단을 제공하는 한편, 미흡한 부분은 보완하여 국민 불편을 줄여나갈 계획이다. 윤 장관은 “복구 속도를 높일 수 있도록 인력과 예산을 총동원하기 위해 민간 전문가와 연구기관 인력까지 현장에 투입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긴 추석 연휴를 앞두고 국민 안전과 재난 관리에 필수적인 소방청의 119안전신고 서비스 복구는 큰 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국가의 각종 기록물을 관리하는 국가기록포털의 재가동은 정보 접근성 측면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행정안전부는 복구된 시스템과 주요 서비스 현황을 네이버와 카카오 등을 통해 수시로 갱신하여 안내하고 있다.
국민신문고 서비스 중단으로 인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과거에 사용했던 시·군·구 새올시스템 온라인 상담 창구를 복원하여 지자체별 온라인 민원상담 서비스도 재개했다. 이는 범정부 차원에서 국민 불편 해소를 위한 실질적인 대책 마련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이번 화재를 계기로 정부는 국가 정보관리시스템의 근본적인 재설계를 추진할 계획이다. 윤호중 장관은 “국가 행정정보시스템의 신속한 복구에 최우선을 두고 모든 행정력을 집중하는 한편, 범정부 차원에서 주요 정보시스템과 운영시설을 전수 점검하는 등 국가 정보관리시스템을 근본적으로 재설계하겠다”고 밝혔다. 나아가 추석 연휴 기간에도 행정서비스가 중단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