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쁜 일상에 지친 현대인들은 문화 향유의 기회를 쉽게 얻지 못한다. 특히 직장인이나 관광객, 혹은 길을 지나던 시민들에게는 극장 방문이 시간적, 물리적으로 큰 부담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문화 접근성의 장벽은 예술을 소수만의 전유물로 만들고, 대중과의 괴리를 심화시키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국립극단은 이러한 현실적인 어려움을 인지하고, 시민들이 일상 속에서 자연스럽게 예술을 접할 수 있도록 ‘한낮의 명동극’이라는 이름으로 새로운 거리예술 공연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이는 ‘365일 열려있는 극장’을 표방하는 국립극단의 올해 핵심 전략의 일환이다.
‘한낮의 명동극’은 오는 8월 20일부터 10월 29일까지 매주 수요일 정오, 명동예술극장 야외마당에서 펼쳐진다. 이번 프로그램은 서커스, 인형극, 마임, 연희 등 다양한 장르를 아우르는 다채로운 공연으로 구성되어, 남녀노소 누구나 무료로 참여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는 단순히 공연을 관람하는 것을 넘어, 바쁜 일상 속에서 잠시 걸음을 멈추고 도심 한복판에서 예술을 만나는 특별한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시민들에게 문화적 휴식을 선사하고자 하는 명확한 목표를 가지고 있다. 지난 8월 27일 ‘문화가 있는 날’에 진행된 인형극 <곁에서> 공연은 이러한 취지를 성공적으로 보여주는 예시였다. 공연 안내 방송과 함께 명동 거리를 걷던 시민들의 발걸음이 멈추었고, 호기심 어린 눈빛은 이내 이야기에 몰입하는 모습으로 바뀌었다. 단 한 명의 연주자가 가야금 선율과 다양한 소품을 활용하여 야외마당을 작은 극장으로 만들었고, 관객에게 말을 걸고 배역을 부여하는 능동적인 참여 유도는 관객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이는 관객이 공연의 일부가 되는, 일상 속 짧지만 강렬한 예술 경험으로 특별한 기억을 선사했다.
이러한 거리예술 공연은 극장의 문턱을 낮추고 관객층을 확대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시간을 내어 극장을 찾기 어려웠던 직장인, 관광객, 그리고 우연히 공연을 접하게 된 시민들까지 모두가 관객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약 20~40분가량의 짧은 공연 시간은 점심시간을 활용하기에 안성맞춤이며, 별도의 예매 없이 자유롭게 관람할 수 있어 접근성을 더욱 높였다. 특히 ‘문화가 있는 날’에 진행되는 공연들은 국민들이 일상에서 문화를 쉽게 접하도록 장려하는 정책적 취지와도 맥을 같이 한다. ‘한낮의 명동극’의 남은 일정 중 ‘문화가 있는 날’에 만날 수 있는 공연은 9월 24일과 10월 29일이다. 만약 명동 방문이 어렵다면 ‘지역문화통합정보시스템’ 누리집을 통해 전국 각지에서 진행되는 ‘문화가 있는 날’의 다양한 혜택, 할인 정보, 국공립 시설의 무료 및 연장 개방 정보, 도서관의 ‘두 배로 대출’ 등 개인의 상황에 맞는 문화 콘텐츠를 찾아 즐길 수 있다. 매월 마지막 수요일, ‘문화가 있는 날’을 100% 즐길 수 있는 콘텐츠를 찾는다면 명동으로 발걸음을 옮기거나, 거주지 근처의 문화 행사를 살펴보는 것은 바쁜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이들에게 일상 속 작은 쉼표가 되어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