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경제가 0%대라는 낮은 성장률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국제통화기금(IMF)이 발표한 ’10월 세계경제전망’은 우리 경제가 내년에 1.8% 성장할 것이라는 희망적인 전망을 제시하며 주목받고 있다. 이는 지난 7월 발표된 전망치를 소폭 상향 조정한 수치로, 현재의 경기 침체를 극복하고 잠재 성장 수준으로 복귀할 수 있을지에 대한 기대감을 높인다.
IMF는 최근 발표된 ’10월 세계경제전망’에서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을 0.9%로 전망했다. 이는 지난 7월 전망치보다 0.1%p 높은 수준이다. 더불어 내년에는 올해보다 대폭 높은 1.8%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하며, 이는 7월 전망치를 그대로 유지한 결과이다. 이러한 전망치는 한국 경제가 내년에는 정상적인 성장 궤도로 복귀할 것이라는 IMF의 분석을 반영한다.
이번 IMF의 전망은 세계 경제 전반의 회복세와 함께 한국 경제의 잠재력을 고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IMF는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을 3.2%로 지난 7월 전망보다 0.2%p 상향 조정했으며, 내년에는 3.1%로 전망치를 유지했다. 이러한 세계 경제의 긍정적인 흐름은 미국의 관세 인하·유예로 인한 불확실성 완화, 경제 주체들의 양호한 적응력, 그리고 달러 약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
우리나라 역시 이러한 글로벌 경기 회복의 흐름 속에서 긍정적인 신호를 보낼 것으로 예상된다. IMF는 한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0.9%로 상향 조정했으며, 내년에는 1.8%로 전망했다. 이는 한국 경제가 점진적인 회복세를 보이며 잠재 성장 수준으로 나아갈 것이라는 기대를 반영한다. 또한, 선진국 그룹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1.6%로 상향 조정되었으며, 내년에도 1.6%를 유지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러한 IMF의 낙관적인 전망은 국제적인 경제 환경 변화와 한국 경제의 회복 가능성에 대한 기대를 시사한다. IMF는 글로벌 물가상승률이 올해 4.2%, 내년 3.7%로 하향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하며 전반적인 경제 안정화 가능성을 시사했다. 비록 무역 불확실성, 이민 제한 정책, 재정 및 금융시장 불안 등 하방 요인이 여전히 존재하지만, 무역 갈등 완화, 구조 개혁 가속화, AI 등 신기술 도입을 통한 생산성 향상 등이 상방 요인으로 작용할 경우 한국 경제의 성장 전망은 더욱 밝아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