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9일 목요일, 한글날을 맞아 대학생 연합 동아리 ‘우리말 가꿈이’가 올림픽공원 피크닉장에서 뜻깊은 기념행사를 개최했다.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 잔디밭 위에 설치된 부스들에서는 우리말을 제대로 알고 친해질 수 있는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운영되었다. 이번 행사는 무분별한 외래어 사용과 우리말의 의미를 제대로 알지 못하는 현상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고, 젊은 세대들이 우리말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적극적으로 사용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취지로 마련되었다.
이날 행사의 핵심은 우리말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이를 일상에서 적극적으로 사용하도록 장려하는 데 있었다. ‘우리말 겨루기’ 부스에서는 올바른 문장을 선택하는 게임을 통해 참가자들이 우리말의 정확성을 익힐 수 있도록 했다. 틀려도 계속 기회를 제공하여 아이들도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배려했으며, 정답을 맞힌 참가자에게는 기념품으로 휴대용 물티슈를 증정했다. ‘열쇠고리랑 엽서랑’ 부스에서는 참가자들이 원하는 순우리말을 골라 캘리그라피처럼 엽서를 꾸미는 활동을 진행했다. 이는 잊혀가는 아름다운 순우리말에 다시 한번 관심을 기울이고, 마치 크리스마스 카드처럼 꾸미는 과정을 통해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느끼게 하는 시간이었다.
특히 ‘사투리 어디까지 알아?’ 부스는 참가자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우리나라 지도 위에 자신의 고향 사투리나 알고 있는 사투리를 적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는데, 이를 통해 지역별 사투리의 다양성을 실감하고 고향의 언어에 대한 애정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사랑하자 공공언어’ 부스에서는 우리말을 올바르게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퀴즈를 풀었는데, ‘인스타그램 스토리에 나 태그해 줘’를 우리말로 어떻게 표현할지에 대한 질문이 제시되었다. 참가자들은 다소 어려움을 겪었지만, 운영진의 힌트를 통해 ‘인스타그램 스토리는 누리소통망에, 태그는 언급으로’ 바꿔 사용하기로 약속하는 등 실생활에서 외래어 사용을 줄이고 우리말을 사용하려는 노력을 다짐했다.
‘우리말 가꿈이랑 친구 맺자’ 부스에서는 한글의 의미를 되짚어보는 시간을 가졌다. ‘한글에서 ‘한’은 무엇을 의미할까?’라는 질문에 참가자들은 ‘크고 으뜸 되는’이라는 정답을 맞히며,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한글의 근본적인 의미를 되새기는 시간을 가졌다. 또한, 5개의 도장을 모으면 파우치를 선물로 증정하는 스탬프 투어는 참가자들이 모든 부스를 적극적으로 체험하도록 이끄는 동기가 되었다.
이번 기념행사는 대학생들이 주도적으로 기획하고 운영했다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깊었다. 참여한 사람들은 예상보다 훨씬 자유롭고 편안한 분위기 속에서 우리말을 즐겁게 접할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 올림픽공원이라는 지리적 이점 또한 행사를 더욱 풍성하게 만들었다. 행사를 마친 뒤 공원을 가볍게 둘러볼 수 있는 구성은 참가자들에게 특별한 가을날의 추억을 선사했다.
더 나아가, 이번 행사를 기점으로 전국 22곳의 국어문화원에서도 10월 한 달간 다양한 형태의 한글날 기념행사가 이어질 예정이다. 이러한 행사를 통해 우리말을 아끼고 보존하려는 젊은 세대의 노력이 확산되고, 우리 사회 전반에 걸쳐 한글을 올바르게 사용하고 지키는 문화가 하루빨리 정착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