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절 기간 응급 상황 발생 시 신속하고 정확한 의료 서비스 접근이 어려워 국민들의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병의원 운영이 줄어드는 긴 연휴 동안 위급한 환자가 적절한 치료 시기를 놓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소방청은 추석 연휴 기간 동안 전국 119구급상황관리센터를 중심으로 비상근무체계를 가동하며 빈틈없는 구급상황관리로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데 총력을 기울였다.
소방청은 이번 추석 연휴 동안 위급상황 발생 시 신속한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전국 20개 119구급상황관리센터에 간호사와 1급 응급구조사 등 전문상담 인력을 204명, 이는 전체의 60.4%에 달하는 인력을 보강했다. 또한, 수보대(상담 전화를 받는 자리) 역시 하루 평균 29대(34.5%)를 증설하여 운영하며 상담 수요 증가에 대비했다. 119구급상황관리센터는 의료기관 병상 정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구급 현장과 의료기관 간의 중추적인 조정 역할을 수행했다. 뿐만 아니라, 질병 상담 및 응급처치 지도 등 의료기관 이송이 필수적이지 않은 비응급 환자에게는 집에서 스스로 할 수 있는 응급 대처 방법을 안내하며 의료 자원의 효율적인 배분을 도모했다.
추석 연휴 동안 119 상담 건수는 총 5만 6151건에 달했으며, 이는 일평균 8022건으로 평시(4616건) 대비 73.8% 크게 증가한 수치다. 가장 많은 상담이 접수된 날은 추석 당일인 6일이었으며, 상담 내용별로는 병의원 안내가 59.8%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뒤이어 질병 상담 16.5%, 응급처치 지도 13.2%, 약국 안내 4.1%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119구급상황관리센터는 의료기관의 당직 현황 및 병상 정보를 구급대에 실시간으로 공유하며 중증환자 발생 시 이송 병원 선정과 연계 대응에 주도적인 역할을 강화했다. 이러한 노력으로 20개 구급상황관리센터와 구급대 간의 유기적인 협조 체계가 원활하게 가동될 수 있었다.
이러한 협력 체계는 생명이 위급한 중증응급환자 소생에 연이어 큰 역할을 했다. 경북에서는 진료받을 병원을 찾지 못했던 배뇨장애 및 의식저하 소아(20개월, 남) 환자와 장중첩증이 의심되는 소아(7세, 남) 환자를 서울·경기 지역의 진료 가능한 병원으로 신속하게 선정하여 소방헬기로 긴급 이송하는 데 성공했다. 충북과 전북에서는 조산 위험이 있는 임신부 이송과 구급차 내 출산을 지원하며 산모와 신생아의 생명을 지켰으며, 전남 흑산도에서는 뇌혈관 질환이 의심되는 환자를 해경과 협력하여 육지 의료기관으로 이송함으로써 골든타임 안에 치료받을 수 있도록 조치했다.
한편, 소방청은 환자 상태에 따라 119구급대 또는 119구급상황관리센터에서 병원을 선정할 수 있도록 병원 선정 주체를 명확화하는 제도 개선을 현재 추진 중이다. 이는 현장 구급대원의 신속한 병원 이송을 지원하고, 의료기관이 환자를 우선 수용하여 평가 및 응급처치 뒤 필요한 경우 다른 병원으로 옮기는 체계로 개선함으로써 신속하고 효율적인 응급 이송 체계를 마련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김승룡 소방청장 직무대행은 “많은 의료기관이 문을 닫은 긴 연휴 기간에도 지자체와 유관기관의 협력으로 안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었다”며, “불안을 줄이고 신속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응급이송체계 고도화와 관련 정책 추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