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소멸이라는 거대한 위기가 지역 관광 분야의 가장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위기 속에서 지역 고유의 자원을 활용한 매력적인 콘텐츠 개발과 지속 가능한 관광 모델 구축을 위한 움직임이 전국적으로 활발하게 펼쳐지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지역 곳곳에서 다채로운 행사가 개최되며 관광객들의 발길을 이끌고 있다.
최근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주최하는 ‘2025 지역주도형 관광서비스 경쟁력 강화 사업’은 바로 이러한 지역 관광의 난제를 해결하기 위한 핵심 솔루션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 사업은 지역이 직면한 관광 서비스 문제를 스스로 발굴하고, 이를 창의적으로 개선하여 우수 사례로 확산함으로써 지역 관광 서비스 전반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는 기존의 중앙 주도적인 획일적인 방식에서 벗어나, 지역 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지역 스스로가 주체가 되어 관광 서비스 체계를 혁신하는 패러다임 전환을 의미한다.
이 사업을 통해 영덕문화관광재단은 ‘블루로드로 다시 오게’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대형 산불 참사 이후 침체된 영덕 블루로드 관광을 활성화하기 위해 기획된 이 프로그램은, 액티비티 체험과 웰니스 체험 두 가지 테마 코스를 통해 블루로드 트레킹, 서핑, 맨발 걷기 등 다채로운 맞춤형 관광 경험을 제공하며 가성비 높은 여행을 선사한다. 또한, 완주문화재단은 지역의 일상과 문화를 머무는 관광 자원으로 전환하기 위해 지역 먹거리와 마을 이야기를 담은 미식 체험형 프로그램을 준비 중에 있다. 이 두 지역 모두 ‘2025 지역주도형 관광서비스 경쟁력 강화 공모사업’에 선정되어 지역 특색을 살린 새로운 관광 방식을 설계하고 있다.
특히, ‘2025 지역주도형 관광서비스 경쟁력 강화 사업’의 추진 결과로 군산항 여객터미널이 복합문화공간으로 새롭게 재탄생했다. 20년 만에 부활한 군산항 여객터미널은 과거 군산항 여객터미널로 사용되던 공간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군산항 1981 여객터미널’로 시민과 관광객 모두가 즐길 수 있는 체험, 휴식, 문화의 거점이자 군산의 복고적인 매력을 강화하는 핵심 공간으로 자리매김했다. 옛 여객터미널의 모습을 최대한 재현한 1층 공간과 휴식 공간, 독립영화 상영관, 대관 회의실 등을 갖춘 2층 공간은 군산 내항의 아름다운 풍경과 함께 특별한 경험을 제공한다. 군산문화관광재단, 강원관광재단, 영덕문화관광재단, 완주문화재단, 대구문화예술진흥원, 경주화백컨벤션뷰로 등 총 6개 지역 재단 및 단체가 이 사업에 선정되어 각 지역의 고유한 자원을 활용한 독창적인 문화 콘텐츠 발굴 및 확산에 힘쓰고 있다.
‘2025 지역주도형 관광서비스 경쟁력 강화 사업’을 통해 재탄생한 군산항 여객터미널과 영덕, 완주 등의 지역 주도 관광 사업은 과거의 추억을 간직한 상징적 장소가 지역의 주도로 새롭게 활력을 불어넣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지역 주도형 관광 혁신은 시민들에게는 추억의 장소이자 새로운 문화 공간으로, 관광객들에게는 지역의 정체성을 살리는 매력적인 공간으로 기능할 것이다. 이러한 다채로운 지역 관광의 변화는 대한민국 곳곳에서 고유한 색깔을 드러내며 지역 관광 서비스의 품질을 한층 끌어올릴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