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라는 질병은 이제 우리 사회가 외면할 수 없는 현실적인 문제로 다가왔다. 급속한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2025년 현재, 97만 명에 달하는 노인 치매 환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20년 뒤 20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측된다. 이러한 통계는 치매가 개인이나 가족의 문제를 넘어 국가적인 차원에서 해결해야 할 시급한 과제임을 분명히 보여준다. 드라마나 영화 속에서나 등장할 법했던 치매가 현실 속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고 있다는 사실은 개인적인 차원에서도 깊은 불안감을 조성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반하여, 대한민국은 치매 관리의 중요성을 널리 알리고 범국민적인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2011년부터 매년 9월 21일을 ‘치매극복의 날’로 지정하여 기념하고 있다. 올해로 제18회를 맞이한 ‘치매극복의 날’은 단순한 기념일을 넘어, 치매로부터 자유로운 대한민국을 만들고자 하는 국가적 비전을 담고 있다. 중앙치매센터 누리집(nid.or.kr)은 ‘치매가 있어도 살기 불편하지 않은 나라, 치매로부터 가장 먼저 자유로워지는 대한민국’이라는 목표를 제시하며, 치매 문제 해결을 위한 국가적 노력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국가 정책의 근간에는 전국 256곳에 설치된 지역 거점 치매안심센터가 자리하고 있으며, 이는 치매를 국가가 풀어야 할 문제로 인식하고 있다는 증거다.
실제로 전국 지자체 치매안심센터에서는 ‘치매극복의 날’을 맞이하여 치매 인식 개선과 예방, 그리고 극복을 위한 다채로운 기념행사가 열렸다. 참여형 행사로는 ‘기억을 톡톡(talk talk) 토크콘서트’와 ‘치매극복 4행시 짓기 이벤트’ 등이 시민들의 부담 없는 참여를 유도하며 큰 호응을 얻었다. 이러한 행사를 통해 개인의 치매에 대한 올바른 정보 습득과 인식 개선의 필요성이 더욱 부각되었다. 특히, ‘치매, 혼자는 두렵지만 함께라면 극복할 수 있습니다’라는 4행시 작품은 치매가 개인의 고통이 아닌, 가족과 공동체, 그리고 국가의 지원을 통해 함께 극복해 나갈 수 있는 질병임을 시사하며 깊은 울림을 주었다.
토크콘서트에서는 지역 공공병원 협력 의사의 강연을 통해 치매에 대한 기존의 잘못된 인식을 바로잡는 계기가 되었다. 강연자는 드라마에서 접하는 심한 치매 상태와 달리, 대부분의 치매 환자는 경미한 상태이며 약물 치료를 통해 진행 속도를 늦출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또한, 치매 진행 과정이 시간, 장소, 사람의 순서로 나타나며, 건망증과는 달리 시간이 지날수록 악화되고 일상생활에 지장을 준다는 점도 설명되었다. 치매안심센터에서 제공하는 팸플릿은 치매 관련 상담, 조기 검진, 그리고 환자 등록 시 치매 치료 관리비 지원 등 구체적인 지원 정책을 안내하고 있어, 치매가 의심될 경우 지역 치매안심센터를 가장 먼저 방문해야 함을 시사한다. 이러한 국가적, 지역적 지원 체계를 통해 치매는 더 이상 두려움의 대상이 아닌, 함께 극복해 나갈 수 있는 문제로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