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조선왕릉과 궁궐을 연계한 여행 프로그램 「2025년 하반기 왕릉팔(八)경」이 운영되지만, 그 이면에는 사라져가는 대한제국의 슬픈 역사와 봉분이 억새로 뒤덮인 태조의 잊힌 유언이 깃들어 있다. 특히 이번 프로그램은 조선 왕실 중심이 아닌 대한제국 황실 관련 유적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근대 전환기의 아픔과 역사적 맥락을 되새기게 한다. 11월 10일까지 총 22회에 걸쳐 운영되는 이 프로그램은 8월 21일, 9월 25일, 10월 16일에 예약이 시작되며, 네이버 예약을 통해 오전 11시부터 선착순으로 참여할 수 있다. 회당 25명으로 제한된 인원 안에서, 어르신, 장애인, 국가유공자는 전화 예약도 가능하다.
동구릉은 아홉 기의 왕릉이 모여 있는 조선 최대 규모의 능역으로, 태조 이성계의 건원릉부터 현종의 숭릉까지 조선 전기부터 후기까지 다양한 시대의 역사를 품고 있다. 이곳에서 발견되는 표석은 17세기 학자 송시열의 제안으로 시작된 것으로, 시간이 흘러 후손들이 왕릉을 구분하지 못할 수 있다는 우려에서 비롯되었다. 송시열은 왕릉의 표석에 전서체를 사용하여 일반 무덤과 차별화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이는 왕릉 제도의 엄격함과 기억 보존의 장치로 기능하게 되었다. 흥미롭게도 태조 이성계의 건원릉 봉분을 뒤덮은 억새는 그의 유언에 따라 후손들이 고향에서 가져와 심은 것으로, 600년이 넘는 시간 동안 이어져 온 독특한 전통이다. 이러한 전통은 태조의 고향에 대한 애정과 후손들의 계승 의지를 보여주며, 건원릉 표석에 ‘대한 태조 고황제 건원릉’이라 새겨진 것은 당시 왕의 위상을 황제로 격상시켜 전하는 중요한 사료가 된다.
프로그램의 핵심인 순종황제 능행길은 대한제국 황실의 비극적인 역사를 따라간다. 대한제국의 제2대 황제이자 조선의 마지막 황제였던 순종의 삶은 일제강점기라는 시대적 아픔과 맞닿아 있다. 1908년 순종은 「향사리정에 관한 건」 칙령을 통해 제사 횟수를 대폭 줄여, 기존 여러 차례 지내던 제사를 명절날과 기신제, 연 2회로 축소했다. 이는 왕실 제도의 변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이며, 오늘날까지 이어져 오는 조선 왕릉 제사의 단절되지 않은 역사성과 세계문화유산 등재에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홍릉과 유릉은 기존 조선 왕릉의 형식을 벗어나 대한제국 황릉의 양식을 따른다. 1897년 고종이 대한제국을 선포하며 왕조에서 황제국으로 체제를 전환한 것처럼, 능의 조영 방식에도 변화가 나타났다. 석물의 배치, 봉분의 규모, 향어로의 장식 등은 황제의 권위를 강조했지만, 그 화려함 속에는 주권을 빼앗긴 민족의 아픔이 깃들어 있다. 특히 홍릉 비각 표석의 경우, 일본은 비문 서두에 ‘前大韓’이라는 표현을 넣자고 주장했지만 대한제국은 이를 강하게 반대하며 수년간 방치되기도 했다. 이러한 과정에서 고영근 홍릉 참봉이 일본의 눈을 피해 ‘大韓高宗太皇帝洪陵 明成太皇后附左(대한고종태황제홍릉 명성태황후부좌)’라는 비문을 완성해 놓았다는 역사적 맥락은 당시의 갈등과 자주적 노력을 보여준다.
동구릉에는 또한 세 기의 봉분이 나란히 배치된 삼연릉이 존재한다. 이는 헌종과 두 왕비(효현왕후·효정왕후)가 합장된 능으로, 왕과 왕비의 위계가 생전과 사후에 달라지는 원칙을 반영한다. 특히 삼연릉의 비석은 여러 차례 다시 새겨진 흔적을 간직하고 있는데, 이는 석비 제작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하려는 당시의 사정을 보여주는 동시에, 황제로 추존되면서 칭호가 변경되는 역사적 흐름을 담고 있다.
여행 프로그램 참여자들은 해설사의 안내를 받으며 능역을 돌고 석물의 의미를 확인하며 사진을 남겼다. 김포 청수초등학교 3학년 이윤재 학생은 “역사를 좋아해 아버지와 함께 참여했다”며 “앞으로 문화유산을 보존하는 역사학자가 되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 이처럼 왕릉 탐방은 단순히 과거를 되짚는 시간을 넘어, 미래 세대가 역사를 어떻게 기억하고 이어갈 것인가를 묻는 자리임을 상기시킨다.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왕릉은 그 자체로 아름답지만, 그 뒤에 담긴 역사를 외면하지 않고 기억하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오늘의 의미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