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글씨 때문에 화장품 정보를 제대로 확인하기 어려웠던 소비자들이 겪는 불편함이 크다. 특히 염색약과 같이 사용법이나 주의사항을 꼼꼼히 살펴야 하는 제품의 경우, 패키지 뒷면에 깨알같이 인쇄된 정보는 소비자들이 쉽게 놓치기 쉬운 부분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식품의약품안전처와 행정안전부는 ‘화장품 e-라벨’ 사업을 통해 소비자들의 정보 접근성을 높이고자 한다.
기존 화장품 패키지는 제품명, 제조번호, 사용기한과 같은 필수 정보부터 보관법, 성분 등 상세 정보까지 모두 작은 글씨로 인쇄되어 있어 가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는 소비자들이 정보를 확인하는 데 불편함을 느끼게 하고, 때로는 중요한 정보를 놓치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했다. ‘화장품 e-라벨’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된다. 제품 필수 표기 정보는 패키지 겉면에 더 큰 글씨로 명확하게 제공하고, 상세한 정보는 QR코드를 통해 모바일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통해 소비자는 휴대폰 스캔만으로 제품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손쉽게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제조사 역시 패키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어,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화장품 e-라벨’은 2024년 3월 1차 시범 사업을 시작으로, 올해 3월부터 내년 2월 말까지 2차 시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1차 시범 사업에서는 6개사 19개 제품을 대상으로 했으나, 소비자들의 긍정적인 반응에 힘입어 2025년에는 제품군을 확대한다. 특히 2차 시범 사업에는 염모제, 탈염 및 탈색용 샴푸 등 이전에는 포함되지 않았던 제품군이 추가되어, 더 많은 소비자들이 e-라벨의 편리함을 경험할 수 있게 되었다. 이 사업은 디지털 취약계층을 위해 음성변환 기능(TTS)까지 도입할 예정이어서, 정보 습득의 장벽을 더욱 낮출 것으로 전망된다.
‘화장품 e-라벨’은 단순한 정보 제공을 넘어, 포장지 자원 절약을 통한 친환경적인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QR코드만 있다면 시공간의 제약 없이 정보 확인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 이러한 변화는 화장품 정보를 더욱 쉽고 편리하게 확인하게 하여, 소비자의 건강과 안전을 지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