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었던 연휴는 많은 이들에게 잠시 숨을 고르고 문화생활을 즐길 기회를 제공했다. 하지만 바쁜 일상 속에 문화 예술을 향유할 여력이 부족했던 이들에게는 오히려 무심하게 지나쳐 버릴 수 있는 시간이기도 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문화체육관광부와 예술경영지원센터,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9월 25일부터 2차 공연·전시 할인권 배포를 시작하며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번 2차 배포는 이전과 달리 할인권의 실사용률을 높이기 위한 구체적인 변화를 담고 있어 주목된다.
이번 2차 할인권 배포의 핵심은 사용 기간 설정과 재발행 방식의 변화에 있다. 1차 발행 당시 6주라는 비교적 긴 사용 기간이 설정되었으나, 상당수의 할인권이 발급만 된 채 사용되지 못하는 비율이 높았던 점을 개선하기 위해 2차 할인권은 일주일의 사용 유효기간을 설정했다. 이는 사용자가 발급받은 할인권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할인권은 매주 목요일 오후 2시에 발급되며, 이때 발급받은 할인권은 해당 주의 수요일 자정까지 사용해야 한다. 기간 내에 사용하지 못한 할인권은 자동 소멸되지만, 매주 목요일마다 새로운 할인권이 발행되므로 다음 기회를 노릴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은 이용자들이 문화생활 계획을 더욱 신중하게 세우고, 발급받은 혜택을 실질적인 관람으로 이어지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
총 36만 장의 공연 할인권과 137만 장의 전시 할인권이 배포되는 이번 2차 사업은 전국 어디서나 사용 가능하다는 점에서 폭넓은 접근성을 자랑한다. 특히 서울, 경기, 인천을 제외한 비수도권 지역을 위한 할인 혜택은 더욱 강화되었다. 비수도권에서는 공연 할인권이 1만 5천 원, 전시 할인권이 5천 원으로 책정되었으며, 이 역시 매주 인당 2매씩 발급된다. 전국 지역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할인권의 경우 공연은 1만 원, 전시는 3천 원이 할인되며, 온라인 예매처 7곳(네이버예약, 놀티켓, 멜론티켓, 클립서비스, 타임티켓, 티켓링크, 예스24)을 통해 발급받을 수 있다. 결제 1건당 할인권 1매가 적용되며, 총 결제 금액을 기준으로 할인율이 적용되므로 여러 장의 티켓을 구매하여 최소 결제 금액 이상을 충족시키면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다만, 모든 공연과 전시에 할인권이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연극, 뮤지컬, 서양음악, 한국음악, 무용 등 순수 예술 분야의 공연과 시각 예술 분야의 전시, 아트페어, 비엔날레 등이 대상이며, 대중음악, 대중무용, 산업 박람회 등은 제외된다.
이처럼 새롭게 개편된 할인권 정책은 문화 예술 관람에 대한 비용 부담을 줄여주어, 평소 문화생활을 즐기고 싶었으나 가격 때문에 망설였던 이들에게는 더없이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 특히 장기 연휴를 활용하여 보고 싶었던 공연이나 전시를 합리적인 가격으로 관람할 수 있다면, 이는 단순한 여가 활동을 넘어 개인의 삶에 풍요로움을 더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이번 2차 할인권 배포가 문화 예술 향유의 문턱을 낮추고, 실질적인 문화 소비 증진으로 이어져 침체된 공연 및 전시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