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 시간 ‘딱히 할 것이 없는 도시’라는 이미지를 벗어나지 못했던 대구와 경북 칠곡이 문화도시 지정을 통해 새로운 도약을 꿈꾸고 있다. 대구 달성군과 경북 칠곡군은 제4차 문화도시로 선정된 이후, 지역 고유의 문화자원을 활용하여 도시 정체성을 높이고 시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려는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선정된 지 2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지역 주민들조차 문화도시 조성 사업에 대한 인지도가 낮다는 점은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최근 개최된 2025 문화도시 박람회는 이러한 문제점을 진단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중요한 기회가 되었다. 박람회에 참가한 37개의 문화도시 가운데, 대구 달성군과 경북 칠곡군은 각기 다른 방식으로 문화도시의 의미를 되새기며 시민 참여를 독려했다. 달성군은 문화활동가 양성, 문화교실 운영, 청년 축제 개최 등 세대별 맞춤형 프로그램을 통해 지속 가능한 문화 생태계 조성과 시민 주도 문화 활동을 강조했다. 특히, ‘들락날락 매거진’과 같은 홍보 자료는 대구만의 차별화된 사업 추진 노력을 보여주었으며, 방문객들을 대상으로 한 포춘쿠키 이벤트와 응원 메시지 남기기는 지역 문화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실질적인 계기가 되었다.
칠곡군은 인문학에 초점을 맞춰 지역 특색을 살린 프로그램들을 선보였다. 칠곡로컬팜투어, 우리동네 문화카페, 주민기획 프로그램 등은 주민들이 함께 어울려 인문학을 향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특히 10월 18일부터 19일까지 개최될 ‘칠곡 문화거리 페스타’는 주민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이 참여할 수 있는 축제로 기획되어, 지역 문화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자 하는 의지를 보여주었다. 관계자는 모든 방문객이 편하게 참여하고 즐길 수 있기를 바란다는 메시지를 전달하며 지역 문화 행사에 대한 기대를 높였다.
포럼에 참석한 관계자들은 인구 유출과 감소, 지역 소멸이라는 공통된 고민을 토로했다. 밀양대학교 거점을 활용한 문화도시 마을 조성 계획이나 속초의 문화도시 시작 사례는 각 지역이 처한 상황 속에서 문화도시 사업이 단순한 문화 행사 개최를 넘어 지역 발전을 위한 핵심 전략임을 시사했다. 대구 역시 청년 유출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만큼, ‘오래 살기 좋은 도시’, ‘발전하고 있는 도시’라는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한 문화도시 사업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질 전망이다.
문화도시의 밝은 미래는 시민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에 달려 있다. 칠곡군의 SNS 팔로우 이벤트와 같이, 각 문화도시의 공식 채널을 통해 최신 소식을 주기적으로 받아보는 것은 시민들이 문화도시 사업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참여를 유도하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가족들과 문화도시 선정 사실을 공유하며 계명대 태권도 시범 공연, 전통문화 체험, 마당극, 북 공연 등 다양한 문화 행사 참여 계획을 세우는 모습은 문화도시가 지역 주민들의 삶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달성군의 청년 축제는 청년들의 니즈를 충족시키며 지역에 대한 애착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2025 문화도시 박람회는 실무자들의 생생한 사례 공유와 다채로운 이벤트 참여를 통해 문화도시의 노력과 가치를 직접적으로 느낄 수 있는 자리였다. 서울에 거주하며 고향의 문화도시 조성 노력을 새삼 깨닫게 된 참가자는 늦기 전에 문화도시 선정 소식을 널리 알려야 한다는 책임감을 느끼기도 했다. 앞으로 제4차 문화도시로서 발돋움할 달성군·칠곡군과 다른 문화도시들의 행보가 지역 주민들의 자부심이 되고, 나아가 지역 경제 활성화와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끄는 동력이 될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