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여름, 기록적인 폭염과 집중호우가 기승을 부리며 무기력감을 안겨주었다. 이러한 이상 기후 속에서 벗어나 분위기를 전환하고 싶은 갈망은 커져만 갔지만, 현실적인 제약으로 당장 멀리 떠나기란 쉽지 않다. 이러한 상황에서 서울 마포구 망원시장 인근에 위치한 독립 서점 ‘가가77페이지’가 ‘길 위의 인문학’ 사업의 일환으로 <영화로 보는 인문학> 프로그램을 통해 특별한 대안을 제시하며 주목받고 있다. 매년 전국 곳곳의 도서관에서 진행되는 ‘길 위의 인문학’ 사업이 서점에서도 열린다는 사실을 인지하게 된 것은, 가가77페이지가 SNS를 통해 신청자를 모집하면서부터이다. 7월 21일(월)부터 10회에 걸쳐 진행되는 이 프로그램은, 양질의 콘텐츠로 구성될 것이라는 확신 아래 필자에게 ‘횡재’와도 같은 기회로 다가왔다.
이처럼 ‘가가77페이지’에서 기획된 <영화로 보는 인문학> 프로그램은, 단순한 지식 전달을 넘어 삶의 의미를 성찰하고 사고의 지평을 넓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가가77페이지의 이상명 대표는 “인문학의 궁극적인 목적은 생각할 수 있는 생각의 밭과 이해할 수 있는 마음의 밭을 넓히는 것”이라며,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 인문학적 주제들을 친숙한 영화와 철학, 문학 서적을 통해 깊이 있게 다가갈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12세 이상(일부 영화는 15세 이상)을 대상으로 선정된 영화들은 다양한 연령층이 인문학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배려한 결과이다.
본격적인 프로그램의 시작은 영화 <죽은 시인의 사회> 관람 후 진행된 1회차 강연이었다. 영화는 공부보다 중요한 인생의 의미를 깨달아가는 학생들의 이야기를 통해 자아 탐구와 교육의 본질이라는 주제를 던졌다. 참여자들은 영화를 통해 얻은 영감을 바탕으로 ‘나를 깨운 문장’, ‘내 목소리를 찾아본 순간’, ‘Carpe Diem 선언문’ 등 각자의 생각을 활동지에 적어 공유하며 깊이 있는 사유의 시간을 가졌다. 영화 속 키팅 선생이 강조했던 “카르페 디엠(현재를 즐겨라)”이라는 메시지는 참여자들에게 현재의 삶을 진정으로 원하는 방향으로 이끌어 나가겠다는 다짐을 새기게 했다.
이상명 대표는 ‘길 위의 인문학’ 사업이 주는 의미에 대해 “매주 월요일 저녁이 기다려진다. ‘길 위의 인문학’에 참여하는 많은 분을 만날 수 있기 때문”이라며, 프로그램에 대한 애정을 드러냈다. 그는 인문학이 사고와 마음의 밭을 만드는 학문이며, 자신이 듣고 싶은 강연을 원하는 방향으로 듣는 방법으로 ‘길 위의 인문학’이 좋은 선택지가 되었다고 밝혔다. 또한, 인문학은 AI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더욱 중요한 학문으로, AI의 효율성과 합리성을 넘어 도덕적인 사고까지 가능하게 하는 근원이라 강조했다.
프로그램 참여자인 박근주 씨는 SNS를 통해 가가77페이지의 ‘길 위의 인문학’ 홍보물을 접하고 참여하게 되었다고 말했다. 그는 단순히 영화와 책을 감상하는 것을 넘어, 그 속에 담긴 인문학적 사유를 자신의 삶에 연결하고 싶다는 바람을 전했다. 반복적인 일상에서 벗어나 강연자와 참여자들과의 소통을 통해 삶의 리듬감을 찾고 싶다는 그녀의 말은, ‘길 위의 인문학’이 단순한 지식 습득을 넘어 삶의 활력을 불어넣는 계기가 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박 씨는 프로그램이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으로 이어져, 꾸준한 성찰과 대화를 통해 인문학적 깊이를 더해갈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되기를 희망했다.
‘길 위의 인문학’ 사업은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한국도서관협회가 공동 주관하며, ‘우리 동네에서 인문학을 만나다’라는 표어 아래 지역 문화와 책, 사람을 잇는 새로운 독서 문화의 장을 만들어가고 있다. 가가77페이지와 같은 독립 서점에서 열리는 이러한 프로그램은, 책방이라는 공간을 복합문화공간으로 재탄생시키며 동네 서점 활성화에도 기여할 가능성을 보여준다. 하반기에도 전국 곳곳에서 이어질 ‘길 위의 인문학’ 프로그램들이 인문학을 통해 우리 자신과 세상을 향한 깊은 이해와 통찰을 제공하며, 여름밤의 무기력함을 떨쳐내고 삶의 새로운 리듬을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