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인공지능(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한 정책 추진 동력이 약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어 왔다. 기존의 분산된 정부, 민간, 지방자치단체의 AI 관련 자원과 역량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지 못하고 각개 약진하는 양상이 국가적 차원의 AI 혁신을 주도하는 데 한계를 보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과학기술·인공지능 총괄 부총리’ 체제를 본격 출범시키기로 결정했다.
이는 정부조직법 개정안이 2025년 9월 30일 국무회의를 통과하면서 공식화되었다. 이번 개편의 핵심은 흩어져 있던 국가 AI 역량을 한곳으로 모아 시너지를 창출하는 데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새로운 체제 하에서 국가 AI 혁신을 주도하며, AI 3대 강국 도약이라는 원대한 목표를 성공적으로 이행하는 데 집중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그동안 산발적으로 운영되던 정부 부처, 민간 기업, 그리고 지방자치단체의 AI 관련 자원과 역량을 체계적으로 결집하고 통합하는 작업을 추진하게 된다.
이러한 통합 체제 구축을 통해 분산되었던 AI 관련 정책 추진의 비효율성을 극복하고, 국가적 차원의 AI 경쟁력을 한 단계 끌어올릴 것으로 기대된다. ‘과학기술·인공지능 총괄 부총리’라는 강력한 컨트롤 타워의 출범은 AI 분야에서의 전략적 의사결정을 신속하게 내리고, 범국가적 역량을 한 방향으로 집중시킴으로써 2025년 AI 3대 강국 도약이라는 목표 달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