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의 변덕스러운 날씨만큼이나, 사회의 변화는 예전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빠르고 예측 불가능하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 속에서 ‘우표’라는 매력적인 매체가 과거의 위상을 잃고 많은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 희미해져 가는 현상은 안타까움을 자아낸다. 한때는 남녀노소 모두에게 즐거움을 선사했던 우표가, 이제는 잊혀진 취미로 전락하며 그 가치를 제대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이러한 상황은 단순히 개인의 취미를 넘어, 국가적인 문화 콘텐츠로서의 잠재력을 간과하고 있다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로 인식될 필요가 있다.
우표의 위상이 과거와 같지 않게 된 배경에는 시대의 변화가 자리한다. 디지털 통신 기술의 발달로 손 편지가 점차 사라지면서 우편물의 수도 줄어들었고, 이는 자연스럽게 우표의 사용 빈도를 감소시켰다. 과거 1990년대만 하더라도 ‘내 취미는 우표 수집’이라고 당당히 말할 수 있을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우표 수집에 열중했으며, 기념우표 발행일에는 우체국 앞에 새벽부터 줄을 서는 진풍경이 펼쳐지기도 했다. 이는 마치 최근 몇 년간 유행했던 캐릭터 스티커 모으기와 유사한 사회적 현상으로, 당시 우표가 가진 대중적인 인기와 상징성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하지만 이러한 대중적 인기는 시대의 흐름 속에서 점차 쇠퇴했고, 오늘날 우표는 많은 사람들에게 낯선 존재가 되어가고 있다.
이처럼 사용 빈도가 줄어들고 대중적인 인기가 시들해졌음에도 불구하고, 우표는 여전히 그 자체로 풍부한 매력을 지니고 있다. 부피가 작아 보관이 용이하며,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어 경제적 부담이 적다. 또한, 매년 다양한 주제와 디자인의 기념우표가 발행되어 수집하는 재미를 더한다. 국내 우표만으로는 채워지지 않는 수집 욕구를 해외 우표로까지 확장할 수 있다는 점은 우표 수집의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보여준다. 우표는 크게 우편요금 납부를 주목적으로 발행되는 ‘보통우표’와 특정 사건이나 인물, 자연 등을 기념하기 위해 발행되는 ‘기념우표’로 구분된다. 특히 기념우표는 정해진 발행량과 기간으로 인해 보통우표보다 희소성이 높아 수집 가치를 지닌다.
대한민국에서는 우정사업본부가 매년 국내외 주요 행사, 인물, 자연, 과학기술, 문화 등 다양한 주제를 선정하여 약 10~20회 정도의 기념우표를 발행하고 있다. 2025년에는 총 21종의 기념우표 발행이 계획되어 있으며, 얼마 전 5월 8일에는 가정의 달을 맞아 ‘사랑스러운 아기’ 우표가 발행되어 눈길을 끌었다. 이는 우표 발행이 단순히 과거의 유물이 아니라, 현대 사회의 다양한 이슈와 문화를 반영하는 창구로서 여전히 기능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뿐만 아니라, 각 지방의 우정청이나 지자체에서도 자체적으로 기념우표를 기획·제작하며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알리는 데 힘쓰고 있다. 지난해 강원지방우정청과 강원일보사가 협업하여 발행한 우표첩 ‘찬란한 강원의 어제와 오늘’은 강원의 역사와 문화를 담아낸 소중한 기록으로 큰 호평을 받았으며, 태백우체국에서 발행한 ‘별빛 가득한 태백 은하수 기념우표’와 양구군에서 발행한 ‘양구 9경 선정 기념우표’는 지역의 아름다움을 담아내며 지자체 홍보 수단으로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
결론적으로, 우표는 단순한 우편 요금 납부 수단을 넘어, 역사, 문화, 예술, 지역 홍보 등 다방면에 걸친 가치를 내포한 문화 콘텐츠로서의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물론 과거와 같은 대중적인 위상을 회복하기는 어렵겠지만, 그 자체로 가진 매력과 시대의 변화에 발맞춘 새로운 활용 방안을 모색한다면 잊혀진 취미에서 벗어나 누군가의 새로운 즐거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우표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다양한 기념우표 발행 및 관련 콘텐츠 개발을 통해 우표가 다시 한번 대중의 관심을 받고 문화의 한 축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