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신분증 사진이나 메신저 대화 내용을 악용한 신종 범죄가 급증하며 개인의 일상이 송두리째 흔들리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생활 속 범죄’는 거창한 기술이 아닌, 일상적인 정보 공유와 예방 교육을 통해 막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디지털 기기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고령층이 범죄에 더욱 취약하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이들을 보호하기 위한 사회적 안전망 구축이 시급한 상황이다.
지난해 여름, 한 주부의 경험담은 이러한 현실을 여실히 보여준다. 평범한 주말, 어머니 댁을 방문한 그는 어머니로부터 “핸드폰은 잘 샀니?”라는 뜬금없는 질문을 받았다. 어머니는 딸인 자신인 줄 알고 신분증 사진을 보내달라는 요청에 응했으며, 심지어 지인이 운영하는 가게라며 보낸 링크를 클릭해 처음 보는 이상한 앱들이 휴대폰에 설치되도록 했다. 이로 인해 어머니의 휴대폰에서는 문제의 카톡 대화창이 감쪽같이 사라졌고, 곧이어 딸의 명의로 개통된 대포폰 2대와 10개 이상의 온라인 사이트 가입, 50만 원의 소액결제 피해 사실이 드러났다. 다행히 어머니가 인터넷뱅킹을 사용하지 않아 더 큰 피해를 막을 수 있었지만, 놀란 어머니는 며칠간 잠을 이루지 못했다. 이 사건은 보이스피싱과 같은 범죄가 더 이상 ‘남의 이야기’가 아닌, 우리 주변에서 언제든 발생할 수 있는 현실임을 증명했다.
이처럼 전화 한 통, 메시지 하나로 일상을 파고드는 범죄에 대응하기 위해 우정사업본부가 적극적으로 나섰다. 우정사업본부는 지난 4월부터 부산, 강원, 충청 등 농어촌 지역의 고령층을 대상으로 ‘우체국 디지털 교육’을 시범적으로 시행했다. 이 교육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된 보이스피싱 예방법을 포함하여, 키오스크, 모바일뱅킹, ATM(현금인출기) 사용법 등 고령층의 실생활에 직접적으로 도움이 되는 다양한 디지털 기기 활용 방법을 알려준다. 시범 운영을 성공적으로 마친 우정사업본부는 올해 하반기부터 이 교육을 전국 농어촌 지역으로 확대 시행할 계획이다.
이러한 디지털 교육은 겉보기에는 소소하고 평범해 보일 수 있지만, 교육 대상자인 고령층에게는 그 무엇보다 강력한 방패가 될 수 있다. 신분증 하나, 메신저 대화 하나로 인생이 송두리째 흔들릴 수 있는 위험한 시대에, 거창한 기술보다 일상 속 정보 공유와 이를 통한 예방이 더욱 중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정사업본부는 오늘도 전국 곳곳에서 어르신들을 직접 만나 교육을 제공하며, 이러한 작은 노력이 자신과 가족, 이웃, 그리고 우리 모두를 지키는 가장 확실한 방패가 되기를 바라고 있다.
◆ 이재우 강원지방우정청 주무관
강원지방우정청 회계정보과 소속으로 2022년 공직문학상 동화 부문 은상을 수상했다. 우체국 업무를 수행하며 느낀 감정을 동화로 풀어내는 작업을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