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신분증이나 메신저를 통한 개인 정보 유출로 인해 개인의 일상이 송두리째 흔들리는 심각한 범죄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위험은 복잡하고 거창한 기술이 아닌, 일상 속에서의 정보 공유와 기본적인 예방 수칙을 통해 충분히 막아낼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디지털 기기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고령층은 이러한 범죄에 더욱 취약한 실정이며, 이들을 보호하기 위한 사회적 노력이 시급한 상황이다.
지난해 여름, 한 주무관의 어머니가 겪은 경험은 이러한 문제의 심각성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평범한 일상 속에서 어머니는 딸을 사칭하는 메시지를 전혀 의심하지 않고 자신의 신분증 사진을 보내고, 제시된 링크를 클릭했다. 이로 인해 어머니의 휴대폰에는 수많은 악성 앱이 설치되었고, 문제의 대화창은 감쪽같이 사라졌다. 이후 경찰서 민원실을 통해 신분증 분실 신고, 악성 앱 삭제, 개인 정보 노출 등록 등의 긴급 대처를 진행했지만, 이미 어머니의 명의로 2대의 대포폰이 개통되고 10개 이상의 온라인 사이트에 가입되었으며, 50만 원의 소액 결제 피해까지 발생한 상태였다. 다행히 인터넷뱅킹을 사용하지 않아 더 큰 피해는 막을 수 있었지만, 이 사건은 전화 한 통, 메시지 하나로 우리의 일상이 얼마나 쉽게 위협받을 수 있는지를 여실히 드러냈다.
이러한 ‘생활 속 범죄’의 심각성을 인식한 우정사업본부는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는 보이스피싱 예방법 교육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지난 4월부터 부산, 강원, 충청 등 농어촌 지역의 고령층을 대상으로 ‘우체국 디지털 교육’ 시범 운영을 시작했으며, 올해 하반기부터는 전국 농어촌 지역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이 교육은 보이스피싱 예방법뿐만 아니라 키오스크, 모바일뱅킹, ATM 사용법 등 고령층의 실생활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내용을 다룬다.
어찌 보면 소소하고 평범해 보이는 이 교육이, 신분증과 메신저 하나로 일상이 흔들릴 수 있는 이 시대에 가장 확실하고 강력한 방패가 될 수 있다는 기대가 크다. 거창한 기술 발전이 아닌, 일상적인 정보 공유와 기본적인 예방 교육을 통해 나와 가족, 그리고 이웃 모두를 지킬 수 있다는 점을 우정사업본부는 전국 곳곳에서 어르신들과 마주 앉아 강조하고 있다. 이 작은 교육이 우리 사회의 든든한 안전망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