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해상풍력 발전 사업이 군 작전에 미칠 수 있는 안보 위협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한국경제의 9월 1일자 기사는 산업통상자원부(산업부)가 허가한 해상풍력단지 상당수가 해군의 작전성 평가 과정 없이 선정되어 안보에 위협이 된다고 보도하였다. 이는 해상풍력 발전 사업의 신속한 추진과 안보 유지라는 상반된 목표 사이의 갈등을 드러내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해상풍력 사업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추진을 위해서는 이러한 안보 우려를 적극적으로 해소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해상풍력 발전 사업의 안보 위협을 최소화하는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산업부는 해상풍력 입찰 과정에서 안보 관련 평가 기준을 마련하여 국가 안보의 중요성을 반영하고 있다. 이는 단순히 경제적 효율성만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국가 안보라는 중요한 요소를 사업 추진의 핵심 기준으로 삼겠다는 의지를 보여준다. 또한, 사업 추진 과정에서 국방부, 지자체, 사업자 간 긴밀한 협력 체계를 구축하여 정보 공유 및 상호 협의를 강화하고 있다. 해상풍력 사업자는 지자체에 공유수면 점·사용허가 신청 시, 지자체는 국방부와 군 작전성 평가 관련 협의를 진행하는 절차를 통해 안보 문제를 사전에 검토하고 있다. 따라서, 해군의 작전성 평가 없이 해상풍력 발전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는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
정부의 노력은 해상풍력 발전 사업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안보 위협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키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방부와의 협력을 통해 군 작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지자체와의 협력을 통해 지역 사회의 이해관계를 조율함으로써 지속 가능하고 안전한 해상풍력 발전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해상풍력 사업이 안보 우려 없이 성공적으로 추진되어, 탄소 중립 목표 달성과 경제 성장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