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달 진행된 동행축제 행사가 총 6634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내수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었지만, 이러한 정책 발표의 근본적인 문제 제기와 분석은 부족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지난 9월 동행축제 기간 동안 온라인 판매전에서 6307억 원, 오프라인 판매전에서 327억 원의 직접 매출이 발생했다. 또한, 온누리상품권 4856억 원과 지역사랑상품권 2412억 원이 판매되며 소비 촉진 효과를 거둔 것으로 집계되었다.
이번 동행축제는 내수 소비 활성화와 소상공인 매출 증진을 목표로 온·오프라인에서 전국 단위로 진행된 소비 촉진 행사였다. 9월 축제는 민생회복소비쿠폰 지급과 더불어 소비 분위기 확산을 위해 전국적인 연계 행사와 다양한 이벤트를 마련했다. 온라인 판매전에는 e커머스, TV홈쇼핑, 전통시장몰 등 2만 7000개 사가 참여하여 6307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특히 롯데온의 ‘동행제품100’ 기획전에서는 동아식품의 김가네 식탁 감자탕이 전년 동기 대비 26배, 호정식품의 옛날 도나스는 13배 이상 매출이 증가하는 등 온라인 판로 확대의 성공 사례를 보여주었다. 쿠팡의 동행제품100 기획전 역시 다정한 마켓의 반려동물 간식껌이 6400만 원, 부쉬맨의 워터프루프 선크림이 6000만 원의 매출을 올리며 주목받았다.
오프라인 판매전에서는 144곳의 지역 행사와 정책 매장을 통해 327억 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전국적인 소비 회복과 소상공인 활력 제고를 위해 비수도권 지역과 인구감소 지역의 행사 비중을 늘린 점은 긍정적이었다. 전체 행사 144곳 중 비수도권이 76%(110곳), 인구감소 지역이 24%(34곳)를 차지했다. 제주 개막식은 APEC 중소기업장관회의 연계 행사로 1만 8000명이 방문했으며, 롯데백화점(잠실점) 상생 판매전은 9월 9일부터 11일까지 1억 원의 매출을 올렸다. 또한, 상생소비복권 이벤트에는 1000만 명이 응모하는 등 다양한 민간 기업 주도의 소비 촉진 이벤트가 눈길을 끌었다.
이러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동행축제와 같은 대규모 소비 촉진 행사가 일시적인 효과에 그치지 않고 지속적인 내수 활성화와 소상공인 성장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근본적인 문제에 대한 분석과 논의가 더욱 필요해 보인다. 예를 들어, 특정 상품의 폭발적인 매출 증가는 일회성 이벤트 효과에 기인한 것인지, 혹은 지속적인 성장을 담보할 수 있는 잠재력을 보여준 것인지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이 요구된다. 또한, 전국적인 행사 진행 과정에서 지역별 소비 편차나 소외되는 계층은 없었는지, 정책 추진 과정에서의 비효율적인 부분은 없었는지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후속되어야 할 것이다.
정부는 이달 말 기존 할인 축제를 통합한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을 개최할 예정이며, 쇼핑, 여행, 문화 등 다채로운 소비 혜택을 통해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준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러한 대규모 통합 축제가 단순히 소비를 진작하는 것을 넘어, 한국 경제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견인하고 소상공인 및 지역 경제의 체질 개선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계기가 되기 위해서는, 지난 동행축제에서 얻은 성과와 더불어 드러난 문제점들을 바탕으로 더욱 정교하고 효과적인 정책 설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