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분증 사진이나 카카오톡 메시지를 악용한 금융 사기가 기승을 부리면서, 디지털 기기에 익숙지 않은 고령층의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이러한 ‘생활 속 범죄’는 거창한 기술이 아닌, 일상 속 정보 공유를 통한 예방이 가장 확실한 해결책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우정사업본부는 전국 농어촌 지역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디지털 교육을 제공하며, 사회 전반의 예방망 강화에 나섰다.
지난해 여름, 한 평범한 날 오후, 친정 부모님 댁을 방문한 한 주무관은 어머니로부터 “핸드폰은 잘 샀니?”라는 뜬금없는 질문을 받았다. 어머니는 딸의 말투를 흉내 낸 모르는 번호의 카카오톡 메시지를 의심 없이 받아들였고, 딸이 요청하는 대로 신분증 사진을 보내고 링크를 눌렀다고 답했다. 뒤늦게 상황을 파악한 주무관은 어머니의 핸드폰에 깔린 낯선 앱들과 사라진 카카오톡 대화창을 발견하고 보이스피싱 범죄임을 직감했다.
당시 토요일이라 경찰서 민원실에서 받은 대처 방법 안내문을 가지고 집으로 돌아온 주무관은 안내문에 따라 신분증 분실 신고를 하고, 경찰청 앱으로 악성 앱을 삭제했다. 또한 금융감독원에 개인정보 노출 사실을 등록하고 ‘웹세이퍼’, ‘계좌정보통합관리서비스’, ‘털린 내 정보 찾기’ 등의 서비스를 통해 명의 도용 피해 여부를 확인했다. 그 결과, 어머니 명의로 대포폰 2대가 개통되었고, 10개가 넘는 온라인 사이트에 가입되었으며, 본래 핸드폰 번호를 이용해 50만 원의 소액결제가 이루어진 사실이 확인되었다. 다행히 어머니가 인터넷뱅킹을 사용하지 않아 더 큰 피해를 막을 수 있었지만, 며칠간 잠을 제대로 이루지 못할 정도로 큰 충격을 받았다.
이처럼 보이스피싱은 더 이상 남의 이야기가 아닌, 전화 한 통, 메시지 하나로 일상에 파고드는 현실적인 범죄가 되었다. 특히 디지털 기기 활용에 어려움을 겪는 고령층이 범죄의 주요 대상이 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정사업본부는 적극적인 예방 활동에 나섰다.
우정사업본부는 지난 4월부터 부산, 강원, 충청 등 농어촌 지역의 고령층을 대상으로 ‘우체국 디지털 교육’을 시범적으로 시행해왔다. 이 시범 운영을 바탕으로 올해 하반기부터는 전국 농어촌 지역으로 교육을 확대할 계획이다. 이 교육은 보이스피싱 예방법과 더불어 키오스크, 모바일뱅킹, ATM(현금인출기) 사용 방법 등 어르신들의 실생활에 직접적으로 도움이 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비록 소소하고 평범해 보이는 교육일 수 있지만, 이는 신분증 하나, 카톡 하나로 인생이 송두리째 흔들릴 수 있는 시대에 살아가는 어르신들에게 무엇보다 강력한 방패가 되어줄 것이다. 우정사업본부는 오늘도 전국 곳곳에서 어르신들과 직접 만나, 이러한 작은 교육이 자신과 가족, 이웃, 그리고 우리 사회 전체를 지키는 가장 확실한 예방책이 되기를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