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장생포는 한때 거대한 고래 산업으로 번성했던 역사의 현장이었으나, 이제는 그 산업의 쇠퇴와 함께 과거의 흔적을 간직한 채 새로운 의미를 부여받고 있다. 과거 장생포는 깊은 수심과 풍부한 먹거리, 그리고 강 하구에서의 플랑크톤 유입 덕분에 고래들의 안식처이자 황금 어장이었다. 이러한 자연적 이점은 장생포를 대한민국 근대 고래잡이 산업의 중심지로 만들었고, 도시의 경제를 지탱하는 핵심 동력이 되었다. 그러나 1986년 국제포경위원회(IWC)의 상업 포경 금지 결정으로 인해 장생포의 고래 산업은 급격히 쇠퇴하게 되었다. 수출입 상품을 나르던 대형 선박과 6~7층 규모의 냉동 창고들은 점차 쇠락하며 폐허가 되어갔고, 번성했던 어업 활동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이처럼 급격한 산업 변화와 함께 도시는 과거의 영광을 뒤로하고 정체성의 위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이러한 위기 속에서 장생포는 문화와 예술을 통해 새로운 생명력을 얻고자 했다. 2016년 울산 남구청은 과거 냉동 창고로 사용되던 폐허를 매입하고,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2021년 ‘장생포문화창고’를 개관했다. 이곳은 과거 산업의 잔재를 업사이클링하여 총 6층 규모의 복합 예술 공간으로 재탄생했다. 소극장, 녹음실, 연습실 등 지역 문화 예술인들의 활동 거점이 될 뿐만 아니라, 특별 전시관, 갤러리, 미디어 아트 전시관 등을 갖추고 있어 다양한 연령층이 즐길 수 있는 매력적인 공간으로 자리매김했다. 어린아이들을 위한 ‘에어장생’ 체험부터 시작해, 정선, 김홍도, 신윤복 등 조선 시대 화가들의 작품을 미디어 아트로 재해석한 ‘조선의 결, 빛의 화폭에 담기다’ 전시는 시민들에게 새로운 감성을 일깨우고 있다. 또한, 과거 울산석유화학단지의 역사와 중화학 공업의 발달 과정을 보여주는 ‘울산공업센터 기공식 기념관’은 부모 세대에게는 격동의 역사를, 젊은 세대에게는 도시의 근간을 이해하는 중요한 기회를 제공한다.
장생포문화창고는 단순히 과거를 추억하는 공간을 넘어, 사라진 산업과 생업, 그리고 포경선의 향수를 기억하고 애도하는 장소로 기능하고 있다. 장생포 고래고기 식당들은 이제 혼획된 밍크고래만을 합법적으로 유통하며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고래고기는 장생포에서 먹어야 제맛’이라는 말처럼, ‘희소성과 금지의 역설’은 고래고기를 더욱 특별한 존재로 만들고 있다. 12만 원짜리 ‘모둠수육’은 육고기와 흡사한 외형에도 불구하고, 살코기, 껍질, 혀, 염통 등 다채로운 부위에서 나는 12가지 이상의 다채로운 맛을 선사하며 과거의 풍미를 느끼게 한다. ‘우네’와 ‘오배기’와 같은 고급 부위들은 고래 특유의 맛과 식감을 극대화하며, 소금, 초고추장, 고추냉이 간장 등 다양한 소스와 어우러져 풍성한 미식 경험을 제공한다. 장생포의 고래요릿집은 단순한 식사를 넘어, 고래로 꿈꿨던 어부들, 고래고기로 단백질을 보충했던 이들, 그리고 한강의 기적을 일군 산업 역군들을 기리는 문화적 지층을 담고 있다. 결국 장생포의 고래는 식탁 위에만 남아있지만, 그 기억은 도시의 정체성 속에 깊이 새겨져 있다. 사라진 고래의 시대를 씹고, 도시의 역사를 삼키며, 장생포는 새로운 공동체의 내일을 준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