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날씨가 변덕을 부리며 옷을 고르기 어렵게 만드는 가운데, 많은 사람들의 장롱 깊숙한 곳에서 초등학생 시절의 추억이 담긴 물건들이 발견된다. 그중 하나는 바로 우표로 만든 책받침이다. 이는 1990년대, ‘취미’라는 단어의 의미를 명확히 알지 못했던 어린 시절에도 ‘우표 수집’이 당시 가장 보편적인 취미 활동이었음을 시사한다. 당시 우표의 인기는 실로 대단하여, 기념우표 발행일에는 새벽부터 우체국 앞에 길게 줄을 서는 진풍경이 연출되었다고 한다. 이는 마치 몇 년 전 크게 유행했던 캐릭터 스티커 모으기와 견줄 만한 대중적인 인기를 누렸음을 짐작게 한다.
그러나 시대의 변화는 손으로 쓴 편지의 희소성을 높였고, 그 결과 우표를 보거나 우표 수집가를 만나기 어려워지는 상황을 초래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우표의 위상이 예전 같지 않다는 점은 큰 아쉬움으로 남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표 수집은 여전히 충분히 매력적인 취미로 남아있다. 우표는 보관이 용이하며,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부담 없이 구매할 수 있다. 또한, 매년 다양한 디자인의 기념우표가 발행되어 수집하는 재미를 더한다. 국내 우표만으로 만족하지 못한다면 해외 발행 우표로 눈을 돌려 수집 범위를 무한히 확장할 수도 있다.
이처럼 다채로운 매력을 지닌 우표는 크게 ‘보통우표’와 ‘기념우표’로 나눌 수 있다. ‘보통우표’는 우편 요금 납부를 주 목적으로 하며, 발행량이나 기간의 제한 없이 소진되는 만큼 지속적으로 발행된다. 반면, ‘기념우표’는 특정 사건이나 인물 등을 기념하기 위해 발행되며, 정해진 발행 기간과 수량으로 인해 보통우표보다 희소성을 가진다. 대한민국 기념우표는 우정사업본부의 고시에 따라 매년 약 10~20회 정도 발행되며, 국내외 주요 행사, 인물, 자연, 과학기술, 문화 등 다채로운 주제를 선정한다. 예를 들어, 2025년에는 총 21종의 기념우표 발행이 계획되어 있으며, 지난 5월 8일에는 가정의 달을 맞아 ‘사랑스러운 아기’ 기념우표가 발행되기도 했다.
우정사업본부 발행 기념우표 외에도 지방 우정청, 우체국,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자체적으로 기념우표를 기획·제작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지난해 11월, 강원특별자치도 출범 1년을 기념하여 강원지방우정청과 강원일보사가 협력하여 발행한 우표첩 ‘찬란한 강원의 어제와 오늘’은 강원의 역사와 문화를 담아냈다는 점에서 큰 호평을 받았다. 또한, 지난해 태백우체국에서 발행한 ‘별빛 가득한 태백 은하수 기념우표’와 올해 4월 양구군에서 발행한 ‘양구 9경 선정 기념우표’는 강원의 아름다움을 담아내며 지자체 홍보 수단으로서의 가치도 인정받았다.
이처럼 풍부한 매력을 지닌 우표가 과거의 위상을 잃어버린 현실은 안타까운 부분이다. 한때 모두의 즐거움이었던 우표가 이 시대에도 다시금 누군가의 즐거움이 될 수 있기를 바라는 희망이 간절하다.
◆ 이재우 강원지방우정청 주무관
강원지방우정청 회계정보과 소속이며, 2022년 공직문학상 동화 부문 은상을 수상했다. 우체국 업무를 수행하며 느낀 감정들을 동화로 옮겨 수상의 기쁨을 얻었다. 우체통과 편지가 사라져가는 시대에도 여전히 우체국에는 다양한 이야기를 담은 우편물과 택배가 가득하며, 이 속의 수많은 이야기를 동화로 계속해서 옮기는 작업을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