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전기차 구매를 망설이는 많은 소비자들이 지자체 보조금 소진으로 인해 부담을 느끼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차량 가격에서 지자체 보조금과 국비 보조금을 제외한 금액이 실제 구매자의 최종 부담액이 되는데, 차량 가격 5,000만 원을 기준으로 할 때 지자체 보조금 200만 원과 국비 보조금 580만 원을 받을 경우 개인 부담금은 약 4,200만 원으로 줄어든다. 하지만 문제는 지자체 보조금이 이미 소진된 경우, 차량 가격 전액이 구매자의 부담으로 남게 된다는 점이다. 이는 깨끗한 환경과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전기차 보급 확대라는 정부의 정책 목표 달성에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9월 1일부터 새로운 지원 정책을 시행한다. 이제는 지자체 보조금이 소진되었더라도 국비 보조금을 통해 전기차 구매 부담을 완화할 수 있게 된다. 차량 가격 5,000만 원을 예시로 들면, 지자체 보조금은 없지만 국비 보조금 580만 원을 적용받아 개인 부담금을 4,420만 원으로 낮출 수 있다. 이 국비 보조금은 차량 종류에 따라 금액이 달라질 수 있으나, 이는 소비자들이 지자체 지원 여부와 상관없이 국비 지원을 통해 전기차 구매 계획을 이어나갈 수 있는 실질적인 기회를 제공한다.
국비 보조금 신청은 2025년 9월 1일 월요일부터 국비 보조금이 모두 소진될 때까지 진행된다. 지원 대상 차량은 전기승용차이며, 신청은 ‘무공해차 통합누리집’을 통해 가능하다. 이번 국비 보조금 신설은 지자체 보조금 소진이라는 병목 현상을 해소하고, 더 많은 국민들이 전기차를 통해 깨끗한 공기와 탄소중립 사회 실현에 동참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중요한 발걸음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환경부는 앞으로도 지속적인 정책 개발을 통해 전기차 보급 확대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