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글씨 때문에 화장품 뒷면의 정보를 제대로 확인하기 어려웠던 소비자들이 많았을 것이다. 이제 이러한 불편함이 해소될 전망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와 행정안전부가 운영하는 ‘화장품 e-라벨’ 사업이 시범 사업 확대를 통해 소비자 정보 접근성을 높이고 있다. 이 정책은 작은 패키지에 깨알같이 담겨 있던 화장품 상세 정보를 QR코드 안에 담아 제공함으로써, 소비자의 편의성을 증진하고 포장재 사용을 줄이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기존 화장품 패키지는 제품명, 제조번호, 사용기한 등 필수 표기 정보를 좁은 면적에 모두 담아야 했다. 이로 인해 글씨 크기가 작아져 소비자들이 정보를 제대로 확인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화장품 e-라벨’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품명, 영업자 상호, 용량, 제조 번호, 사용기한 등 소비자가 자주 확인하는 필수 정보는 패키지 겉면에 명확하게 표기하고, 상세한 성분 정보, 사용법, 보관법 등 추가적인 정보는 QR코드를 통해 모바일로 제공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소비자는 휴대폰 스캔만으로 언제 어디서든 쉽고 편리하게 화장품에 대한 세부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패키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포장재 사용량을 줄여 친환경적인 소비를 유도하는 효과도 있다.
‘화장품 e-라벨’ 사업은 2024년 3월 1차 시범 사업을 시작으로, 올해 3월부터 내년 2월 말까지 2차 시범 사업을 진행한다. 1차 시범 사업에서 6개사 19개 제품을 대상으로 긍정적인 소비자 피드백을 받은 후, 2차 시범 사업에서는 염모제, 탈염 및 탈색용 샴푸 등 제품군을 확대하여 13개사 76개 품목으로 대폭 늘렸다. 이러한 확대를 통해 더 많은 소비자들이 ‘화장품 e-라벨’의 편리함을 경험할 수 있게 되었다. 시범 사업 대상 제품은 패키지 뒷면에서 “화장품 e-라벨 시범 사업 대상 제품입니다” 또는 “QR코드 스캔으로 상세 정보를 확인해 보세요”와 같은 문구를 통해 쉽게 구분할 수 있다.
‘화장품 e-라벨’은 유효기간 없이 시공간의 제약 없이 정보 확인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가진다. 특히 시력이 좋지 않거나 디지털 기기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소비자를 위해 음성변환 기능(TTS) 도입까지 예정되어 있어, 정보 접근성이 더욱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화장품은 피부에 직접 닿는 제품인 만큼 성분과 효능 등을 꼼꼼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화장품 e-라벨’은 이러한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키며, 보다 안전하고 현명한 화장품 소비를 지원하는 중요한 정책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