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의 번잡함 속에서 예술을 접하기 어려운 시민들의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해야 한다는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특히, 시간을 내어 공연장을 찾기 어려운 직장인이나 관광객, 그리고 우연히 길을 지나는 시민들에게까지 예술이 자연스럽게 다가가기 위한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국립극단은 ‘365일 열려있는 극장’이라는 기치 아래, 시민들이 일상 속에서 예술을 만날 수 있는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선보이며 문제 해결에 나서고 있다.
국립극단은 2024년 8월 20일부터 10월 29일까지 매주 수요일 정오, 명동예술극장 야외마당에서 ‘한낮의 명동극’이라는 이름으로 거리예술 공연을 개최한다. 이번 공연은 서커스, 인형극, 마임, 연희 등 다양한 장르를 아우르며, 남녀노소 누구나 무료로 참여할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 이는 단순히 공연을 관람하는 것을 넘어, 바쁜 일상 속에 잠시 멈춰 서서 도심 한복판에서 예술과 조우할 수 있는 특별한 문화적 휴식을 제공하려는 국립극단의 의지를 보여준다.
지난 8월 27일, ‘문화가 있는 날’에 열렸던 인형극 <곁에서> 공연은 이러한 취지를 성공적으로 실현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공연 안내 방송과 함께 명동 거리를 걷던 시민들의 발걸음이 하나둘 멈추었고, 호기심 어린 눈빛으로 공연을 지켜보던 시민들은 이내 이야기에 몰입했다. 단 한 명의 연주자와 가야금 선율, 그리고 다채로운 소품만으로도 야외마당은 작은 극장으로 변모했으며, 연주자가 관객에게 말을 걸고 배역을 부여하며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과감한 연출은 관객들의 적극적인 호응을 이끌어냈다. 이러한 무대와 객석의 경계를 허무는 상호작용은 관객들에게 단순한 수동적 관람을 넘어 공연의 일부가 되는, 일상 속 짧지만 강렬한 예술 경험을 선사하며 특별한 기억으로 남게 했다. 아이들과 함께 공연을 관람했던 한 시민은 ‘예상치 못한 선물을 받은 기분’이라며 깊은 만족감을 표했다.
‘한낮의 명동극’은 국민이 일상에서 문화를 쉽게 접할 수 있도록 제정된 ‘문화가 있는 날’의 취지와도 맥을 같이한다. 거리예술 공연은 그 자체로 극장의 문턱을 낮추고, 이전에는 극장을 찾기 어려웠던 직장인, 관광객, 길을 지나던 시민들까지 자연스럽게 관객으로 끌어들이며 예술의 외연을 확장하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공연은 작품별로 약 20~40분 내외로 구성되어 점심시간을 활용해 부담 없이 즐길 수 있으며, 별도의 예매 절차 없이 자유롭게 관람 가능하다. 다만, 공연 중 폭우가 예보될 경우에는 공연이 중단되거나 취소될 수 있다는 점은 유의해야 한다.
국립극단은 ‘한낮의 명동극’ 외에도 ‘명동人문학’ 강연 프로그램과 명동예술극장의 역사와 연극 제작 과정을 엿볼 수 있는 ‘백스테이지 투어’ 등 다양한 무료 프로그램을 함께 운영하며 시민들의 문화 향유 기회를 더욱 확대하고 있다. 남은 ‘문화가 있는 날’에 진행되는 ‘한낮의 명동극’ 공연은 9월 24일과 10월 29일이다. 혹시 명동 방문이 어렵다면, ‘지역문화통합정보시스템’ 누리집을 통해 전국 각지에서 진행되는 ‘문화가 있는 날’ 혜택을 확인할 수 있다. 이곳에서는 할인 혜택, 국공립시설의 무료 및 연장개방 정보, 도서관의 ‘두배로 대출’ 등 개인의 상황에 맞는 맞춤형 문화 혜택 정보를 제공한다. 바쁜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시민들이 ‘문화가 있는 날’이라는 작은 무대를 통해 일상 속에서 진정한 쉼표를 찾고, 예술을 통해 삶의 풍요로움을 만끽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