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여름 기록적인 폭염과 폭우가 연이어 닥치면서 몸과 마음이 지치기 쉬운 시기다. 이러한 이상기후 현상 속에서 일상에 활력을 불어넣고 분위기를 전환할 수 있는 돌파구가 절실하다. 멀리 떠나는 여행은 시간과 비용의 제약으로 선뜻 나서기 어렵지만, 지역 곳곳에서 펼쳐지는 ‘길 위의 인문학’ 프로그램이 이러한 갈증을 해소할 좋은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서울 마포구에 위치한 독립 서점 ‘가가77페이지’에서 진행 중인 <영화로 보는 인문학> 프로그램은 서점이라는 친숙한 공간에서 양질의 인문학 콘텐츠를 접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길 위의 인문학’ 사업은 매년 전국 곳곳의 도서관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올해 ‘가가77페이지’는 이 사업이 서점에서도 열릴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하고, SNS를 통해 <영화로 보는 인문학> 프로그램 참가자를 모집하는 적극적인 행보를 보였다. 이 프로그램은 7월 21일(월)부터 총 10회에 걸쳐 진행되며, 단순한 영화 감상을 넘어 영화와 관련된 철학, 문학 서적 등을 통해 깊이 있는 인문학적 사유를 경험하도록 구성되었다.
‘가가77페이지’의 이상명 대표는 인문학의 궁극적인 목적을 ‘생각할 수 있는 밭과 이해할 수 있는 마음의 밭을 넓히는 것’이라고 강조한다. 이를 위해 어렵게만 느껴질 수 있는 인문학적 주제들을 친숙한 영화와 연결하고, 12세 이상(일부 영화는 15세 이상) 관람가로 영화를 선정하여 폭넓은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 이지혜 영화평론가와 이인 작가가 공동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1회차에서는 영화 <죽은 시인의 사회>를 함께 관람하고 자아 탐구와 교육의 본질에 대한 강연과 참가자들의 자유로운 사유 나눔이 이루어졌다. 참가자들은 영화 속 ‘카르페 디엠(현재를 즐겨라)’이라는 메시지를 되새기며 자신만의 삶의 의미를 탐색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상명 대표는 ‘길 위의 인문학’ 프로그램 참여자들과의 만남을 통해 ‘매주 월요일 저녁이 기다려진다’고 말하며, 이 사업이 단순한 지식 전달을 넘어 지역 사회와 문화 교류를 활성화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그는 또한 AI 시대에 인문학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음을 역설하며, 인문학적 사고가 AI와 접목될 때 효율성과 합리성을 넘어 도덕적인 영역까지 아우를 수 있다고 전망했다.
‘책방이야말로 복합문화공간으로 활용할 여지가 많다’는 이상명 대표의 발언처럼, ‘가가77페이지’는 책 판매를 넘어 다양한 문화 활동을 담고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자 한다. 프로그램 참여자인 박근주 씨는 ‘길 위의 인문학’ 프로그램을 통해 영화와 책 속 인문학적 사유를 자신의 삶에 연결하고, 다른 참가자들과의 소통을 통해 삶의 리듬감을 느끼고 싶다고 밝혔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이 일회성에 그치지 않고 지속적으로 이어져 인문학적 배움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우리 동네에서 인문학을 만나다’라는 표어를 내건 ‘길 위의 인문학’ 사업은 인문학과 지역문화, 책과 길, 저자와 독자, 공공도서관과 지역 주민이 만나는 새로운 독서 문화의 장을 열어가고 있다. ‘가가77페이지’에서의 경험은 이러한 사업이 독립 서점에서도 성공적으로 안착하며 지역 커뮤니티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올 하반기에도 전국 곳곳에서 이어질 ‘길 위의 인문학’ 프로그램에 관심을 가지고 참여한다면, 무더위에 지친 심신을 달래고 삶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을 얻는 소중한 기회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