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 연휴 동안 알찬 문화생활을 즐기고 싶었지만, 시간적 제약이나 정보 부족으로 망설였던 이들이 적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고민을 해소하고 국민들의 문화 향유 기회를 실질적으로 확대하기 위해 문화체육관광부와 예술경영지원센터,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공연·전시 할인권’ 2차 배포에 나섰다. 이번 2차 배포는 단순히 쿠폰을 제공하는 것을 넘어, 실질적인 사용률을 높이기 위한 제도 개선이 함께 이루어져 눈길을 끈다.
이번 2차 할인권 배포는 1차 발행 시 나타났던 문제점을 보완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지난 1차 발행에서 6주라는 비교적 긴 사용 유효기간을 설정했으나, 발급 후 사용되지 않는 비율이 높아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있었다. 이에 2차 할인권은 사용 유효기간을 일주일로 단축하고, 사용하지 않은 할인권은 매주 목요일마다 재발행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이는 문화생활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데 있어 사용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쿠폰의 실제 소비로 이어지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9월 25일부터 12월 3일까지 매주 목요일 오후 2시에 할인권이 발급되며, 발급받은 할인권은 해당 주의 수요일 자정까지 사용해야 한다. 기간 내에 사용하지 못한 할인권은 자동 소멸하지만, 다음 주 목요일에 다시 발급받을 수 있어 지속적인 참여가 가능하다.
이번 할인권은 공연 36만 장, 전시 137만 장이 배포되며, 연말 성수기인 12월 31일까지 관람 예정인 공연 및 전시에 적용된다. 할인권은 네이버예약, 놀티켓, 멜론티켓, 클립서비스, 타임티켓, 티켓링크, 예스24 등 7개 온라인 예매처를 통해 받을 수 있다. 전국 어디서나 사용 가능한 할인권은 공연의 경우 1만 원, 전시는 3천 원이 인당 매주 2매씩 발급되며, 결제 1건당 1매가 적용된다. 특히, 할인권은 개별 상품 가격이 아닌 총 결제 금액을 기준으로 적용되므로, 여러 장의 티켓을 한 번에 구매하여 최소 결제 금액 이상이 되면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다만, 서울, 경기, 인천을 제외한 비수도권 지역에서 사용 가능한 할인권은 공연 1만 5천 원, 전시 5천 원으로 더 높은 금액으로 제공되어 지역 문화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할인 적용 대상 역시 명확히 규정되었다. 공연 분야는 연극, 뮤지컬, 서양음악(클래식), 한국음악(국악), 무용 등이며, 대중음악 및 대중무용 공연은 제외된다. 전시 분야는 전국 국·공립, 사립 미술관 등 시각예술 분야 전시와 아트페어, 비엔날레가 포함되지만, 산업 박람회 등은 제외된다. 이러한 기준은 문화예술 진흥이라는 할인권의 본래 취지를 살리고자 하는 노력으로 풀이된다.
이번 2차 공연·전시 할인권 배포는 국민들이 경제적 부담 없이 다채로운 문화생활을 누릴 수 있도록 지원하는 중요한 정책으로 평가된다. 또한, 실사용률을 높이기 위한 제도 개선은 정책의 실효성을 제고하고, 국민들의 문화 향유 경험을 풍부하게 만드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흐린 날씨 속에서도 할인권과 함께라면 따뜻한 공연장이나 전시장에서 마음의 양식을 쌓는 시간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