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여름, 연일 이어지는 폭염과 폭우로 인해 무기력함을 호소하는 이들이 많았다. 일상에서 벗어나 잠시나마 삶의 활력을 되찾고 싶지만, 현실적인 제약으로 멀리 여행을 떠나기 어려운 상황에서 많은 사람들이 아쉬움을 느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서울 마포구에 위치한 독립 서점 ‘가가77페이지’가 ‘길 위의 인문학’ 사업의 일환으로 ‘영화로 보는 인문학’ 프로그램을 열며 침체된 분위기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매년 전국 곳곳의 도서관에서 진행되어 온 ‘길 위의 인문학’ 사업이 올해는 독립 서점에서도 열린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가가77페이지는 SNS를 통해 ‘길 위의 인문학’ 신청자를 모집했으며, ‘영화로 보는 인문학’이라는 주제 아래 7월 21일부터 총 10회에 걸쳐 진행되는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다. 이는 평소 인문학에 대한 깊은 관심에도 불구하고 양질의 콘텐츠와 체계적인 구성을 갖춘 프로그램에 접근하기 어려웠던 이들에게 반가운 소식이 아닐 수 없다.
가가77페이지 이상명 대표는 인문학의 궁극적인 목적이 단순 지식 전달을 넘어 ‘생각할 수 있는 생각의 밭과 이해할 수 있는 마음의 밭을 넓히는 것’에 있다고 말한다. 이를 위해 어렵게만 느껴지는 인문학적 주제들을 친숙한 영화와 연결하고, 영화와 관련된 철학, 문학 서적들을 통해 깊이 있는 탐구를 제공하는 커리큘럼을 준비했다. 특히, 12세 이상(일부 영화는 15세 이상)으로 참여 대상 연령을 넓혀 인문학이 특정 계층만의 전유물이 아닌, 누구나 쉽게 다가갈 수 있는 학문임을 강조하고 있다.
실제로 프로그램의 첫 회차는 영화 <죽은 시인의 사회>를 상영한 후, 자아 탐구와 교육의 본질이라는 주제로 이지혜 영화평론가와 이인 작가의 강연이 이어졌다. 참여자들은 영화를 통해 얻은 영감을 바탕으로 ‘나를 깨운 문장’, ‘내 목소리를 찾아본 순간’, ‘Carpe Diem 선언문’ 등의 질문에 답하며 자신의 생각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영화 속 키팅 선생이 외친 “카르페 디엠(현재를 즐겨라)”처럼, 참여자들은 각자의 삶에서 진정으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되새기며 현재를 살아가는 의미를 곱씹었다.
이상명 대표는 “매주 월요일 저녁이 기다려진다”며 ‘길 위의 인문학’ 참여자들과의 만남에 대한 기대감을 표현했다. 또한, 인문학이 사고 체계를 구조화하고 AI 시대에 오히려 그 활용 영역이 커질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으며 인문학적 소양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책방의 어려운 현실 속에서도 가가77페이지가 복합문화공간으로서 다양한 문화 콘텐츠를 담고 즐기며 행하는 공간으로 남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
프로그램 참여자인 박근주 씨는 SNS를 통해 가가77페이지 소식을 접하고 ‘길 위의 인문학’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그는 단순히 영화와 책을 감상하는 것을 넘어, 그 속에 담긴 인문학적 사유를 자신의 삶에 연결하고 싶었다고 말하며, 인문학을 통해 삶의 리듬감을 느끼고 싶다는 바람을 전했다. 더불어, 이러한 프로그램이 일회성에 그치지 않고 지속적으로 이어져 인문학적 성찰의 깊이를 더할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되기를 희망했다.
‘길 위의 인문학’ 사업은 문화체육관광부 주최, 한국문화예술위원회와 한국도서관협회가 공동 주관하는 사업으로, ‘우리 동네에서 인문학을 만나다’라는 표어 아래 인문학과 지역문화, 책과 길, 저자와 독자, 공공도서관과 지역 주민이 만나는 새로운 독서 문화의 장을 만들어가고 있다. 가가77페이지에서의 ‘영화로 보는 인문학’ 프로그램은 이러한 사업의 취지를 성공적으로 구현하며, 앞으로 전국 곳곳에서 이어질 인문학 프로그램에 대한 기대감을 더욱 높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