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절 연휴가 끝나고 냉장고에 남은 명절 음식 처리에 대한 고민이 시작된다. 특히 갈비찜과 잡채, 각종 전은 명절의 풍성함을 상징하지만, 남게 되면 처치 곤란한 음식으로 전락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러한 남은 명절 음식을 활용해 새로운 요리로 재탄생시키는 방법이 있다. 박찬일 셰프는 ‘갈비찜 잡채볶음밥’과 ‘전 두루치기’를 제안하며, 명절 음식의 새로운 변신 가능성을 보여준다.
올해 추석은 절기에 맞춰 풍요로운 시기를 알리고 있다. 차례상에는 예로부터 귀하게 여겨졌던 송편과 더불어 갈비찜, 잡채 등 다양한 음식이 오른다. 과거에는 명절 음식으로 고기라고는 소고기 국 정도가 전부였지만, 시대가 변하며 갈비찜은 명절 상차림에 빠지지 않는 귀한 음식이 되었다. 갈비는 구이와 찜 두 가지 방식으로 즐기는데, 찜은 집에서 정성껏 만들어 먹는 요리로 여겨졌다. 돼지갈비찜이 대중화된 것은 1980년대 이후의 일이며, 소갈비찜은 여전히 많은 사람들의 꿈으로 남아있는 귀한 음식이다.
박찬일 셰프는 갈비찜을 활용한 볶음밥 레시피를 소개한다. 명절 후 남은 갈비찜은 뼈와 살점이 분리되어 물러진 채로 남기 쉽다. 이때 갈비찜 냄비에 남은 양념과 살점을 활용하면 훌륭한 볶음밥 재료가 된다. 냄비 안의 갈비찜 양념을 한 국자 퍼내 궁중팬에 달군 후, 밥과 함께 볶으면 된다. 여기에 고추장 반 큰술과 남은 잡채, 김가루를 더하면 일인분의 맛있는 볶음밥이 완성된다. 식용유 없이도 갈비 소스와 잡채에 포함된 기름만으로 충분하며, 고추장 대신 다진 신김치를 활용하여 단맛과 매운맛을 조절할 수도 있다.
명절 음식으로 빼놓을 수 없는 전 역시 다양한 방법으로 재활용될 수 있다. 박찬일 셰프는 남은 전을 활용한 ‘전 두루치기’를 제안한다. 두루치기는 조림이나 볶음과 유사하지만 즉석에서 조리하는 느낌이 강한 요리다. 냄비에 식용유를 두르고 다진 마늘과 파를 볶다가 캔 참치, 물, 치킨스톡을 넣고 끓인다. 여기에 잘게 썬 김치와 남은 전을 넣고 고춧가루를 넣어 바글바글 끓여내면 완성이다. 특히 두부전이 남았다면 두루치기의 맛을 더욱 풍성하게 만들 수 있다. 전에서 우러나온 기름은 국물을 진하고 깊게 만들어주며, 마지막으로 국간장이나 소금으로 간을 맞추면 된다.
명절 음식의 풍성함은 때로 과함으로 이어지기도 하지만, 박찬일 셰프의 아이디어는 남은 음식을 단순히 소비하는 것을 넘어 새로운 요리로 재창조하는 즐거움을 선사한다. ‘갈비찜 잡채볶음밥’과 ‘전 두루치기’는 명절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는 동시에, 색다른 맛으로 명절의 여운을 이어갈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이는 결국 명절이라는 좋은 시절이 다 지나가기 전, 남은 음식을 슬기롭게 활용하는 지혜로운 선택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