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의 날과 청년주간을 앞두고, 젊은 세대의 다양한 고민과 개성 넘치는 취향을 문화로 연결하고 해소하기 위한 특별한 행사가 개최되었다. 지난 8월 29일부터 이틀간 서울 성수동 복합문화공간 더블유젯 스튜디오에서 열린 ‘청년문화사용법: 네 개의 방’은 바로 이러한 청년들의 어려움에 주목하고 해법을 모색하는 자리였다.
바쁜 일상 속에서 ‘내가 정말 좋아하는 것은 무엇일까?’라는 근본적인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어려워하는 청년들이 많다. 또한, 2030 세대의 트렌드를 반영한 팝업 스토어 형태로 운영된 이번 행사는 청년들이 자신의 취향을 적극적으로 탐색하고 발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했다.
행사의 문을 열고 들어선 1층 ‘탐색의 방’은 청년들이 자신의 오래된 취미와 최근의 관심사를 되돌아보며 다양한 문화 성향을 찾도록 이끌었다. 각 질문의 답변은 ‘낯섦의 설렘’, ‘쾌감’과 같은 감각적인 표현과 ‘야구’, ‘일러스트’, ‘서점’과 같이 청년들이 공감할 만한 구체적인 선택지로 구성되어, MBTI 성격 유형 검사처럼 흥미롭게 자신의 유형을 탐색할 수 있었다. 이러한 자기 탐색 과정은 청년들이 자신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나아가 바쁜 일상 속에서도 자신만의 문화 취향을 수집하고 발견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이어지는 ‘고민 전당포’ 코너는 청년들이 마음 편히 자신의 고민을 털어놓고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공간이었다. 하나의 질문에 자신의 생각을 적어 전당포에 맡기면, 동일한 질문에 대한 다른 사람의 답변이 담긴 종이를 받을 수 있는 방식이었다. ‘뭘 해도 의욕 없는 날이 자꾸 길어져서 두려워요. 이런 경험이 있으신가요?’라는 질문에 자신의 경험을 담아 답변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청년들은 자신이 겪는 어려움이 결코 혼자만의 것이 아님을 깨닫고 묘한 안도감을 느꼈다. 낯선 이의 고민에 대한 답변은 곧 자신에게 전해지는 조언처럼 다가오며, 서로의 진심과 무게를 통해 위안을 얻는 연결의 힘을 경험하게 했다.
2층 ‘연결의 방’에서는 청년들이 자신의 취향을 직접적인 활동으로 연결하고 타인과 나누는 현장이 펼쳐졌다. 독서 모임, 잡지 커뮤니티, 체육 기반 협동조합 등 다양한 단체들은 자신의 취미를 공유하며 청년들의 관심사를 확장시키는 역할을 했다. 특히 문화체육관광부가 운영하는 ‘청년소리의 정원’ 부스에서는 청년들이 직접 정책 제안을 남기며 ‘청년 재테크 교육’과 같은 정책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다양한 배경의 청년 의견을 살펴보며 서로 놓치고 있는 부분을 고민하는 기회를 가졌다.
3층 ‘영감의 방’에서는 취향이 직업이 된 사람들과 함께하는 강연이 진행되어 청년들에게 실질적인 영감을 제공했다. 책을 좋아하는 청년들은 출판계 현직자들과의 토크콘서트를 통해 ‘작가의 문장이 세상에 닿기까지’의 생생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실제 경험에서 우러나온 이야기들은 책을 좋아하는 청년이라면 누구나 숨죽여 듣게 될 만큼 흥미로웠으며, 이러한 현직자와의 만남은 청년들의 꿈을 현실로 만드는 데 중요한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청년문화사용법: 네 개의 방’ 행사는 청년들이 겪는 현실적인 고민과 개성 넘치는 취향이 어떻게 문화로 연결될 수 있는지를 생생하게 보여주었다. 청년의 날과 청년주간을 앞둔 시점에서 이러한 경험은 청년 정책이 단순히 경제적 지원을 넘어 청년들의 문화적 욕구와 정체성 탐구까지 아우를 수 있음을 몸소 증명했다. 앞으로도 청년의 날을 전후하여 이처럼 청년들의 눈높이에 맞춘 다채로운 문화 행사와 정책 소통의 장이 지속되기를 기대한다. 이러한 기회들이 청년들이 서로를 격려하고 지지하는 문화를 형성하며 진정한 힘을 발휘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