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격하게 심화하는 기후위기와 인공지능(AI) 시대의 도래는 우리 사회의 안전 체계에 근본적인 도전을 제기하고 있다. 최근 빈번하게 발생하는 이상기후로 인한 대형 화재 및 붕괴 사고와 같은 복합 재난은 기존의 국가 차원 재난 관리 패러다임의 전환을 절실히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정부는 과학기술과 디지털 전환을 기반으로 한 재난·안전 대응체계 강화를 핵심 국정과제로 추진하고 있으며, 이는 곧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필수적인 과제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와 정부 정책 기조에 발맞춰 소방청은 기존의 자율기구였던 소방과학기술과를 ‘소방AI기후위기대응과’로 개편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는 단순히 조직 명칭의 변화를 넘어, 미래 재난에 대한 능동적이고 효과적인 대응을 위한 소방청의 혁신적인 의지를 담고 있다.
새롭게 개편된 소방AI기후위기대응과는 두 가지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첫째, 소방 현장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첨단 장비의 연구개발 및 기획에 집중한다. 인공지능, 로봇 등 최첨단 기술을 활용한 장비 개발을 통해 현장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극대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소방 정책 수립 및 집행 과정에 인공지능을 비롯한 과학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과제를 발굴하고, 이에 대한 기술 지원을 담당한다. 이는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 분석을 통해 재난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고, 더욱 정교하고 효과적인 대응 전략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소방청은 이러한 조직 개편을 통해 첨단 기술을 기반으로 한 과학적인 재난 대응 체계를 확립하고, 궁극적으로는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안전 서비스를 구현해 나갈 계획이다. 김승룡 소방청장 직무대행은 “AI와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 소방정책은 기후위기 시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핵심 수단”이라며, “선제적이고 유연한 조직 혁신을 통해 미래 재난에 강한 안전사회를 만들어 가겠다”고 강조했다. 이는 미래의 복합 재난에 대한 예측, 예방, 대응 능력을 강화함으로써 국민의 안전을 더욱 굳건히 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