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화되는 기후위기와 인공지능(AI) 시대의 도래는 국가 재난 및 안전 관리 체계에 새로운 도전 과제를 안겨주고 있다. 최근 이상기후로 인해 대형 화재와 붕괴 사고와 같은 복합적인 재난이 빈번하게 발생하며, 이는 국가 차원의 재난 관리 패러다임 전환의 필요성을 절실히 시사한다. 정부는 과학기술과 디지털 전환을 기반으로 한 재난·안전 대응체계 강화를 주요 국정과제로 추진하고 있으며, 이러한 정책 기조에 발맞춰 소방청은 급격한 환경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조직 개편을 단행했다.
기존 자율기구였던 소방과학기술과를 ‘소방AI기후위기대응과’로 개편한 것은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대한 직접적인 응답이다. 이 새로운 부서는 단순히 기존 기능을 유지하는 것을 넘어, 미래 재난 환경에 최적화된 대응 체계를 구축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소방AI기후위기대응과는 소방 현장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첨단 장비의 연구개발 및 기획을 총괄하는 동시에, 소방 정책 수립 및 집행 과정에 인공지능 등 최신 과학기술을 접목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기술적인 지원을 담당하게 된다. 이는 곧 재난 발생 시 더욱 신속하고 정확하며 효과적인 대응을 가능하게 하는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을 의미한다.
이번 조직 개편을 통해 소방청은 첨단 기술을 활용한 과학적 재난 대응 체계를 확립하고, 궁극적으로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더욱 강화된 안전 서비스를 구현해 나갈 계획이다. 김승룡 소방청장 직무대행의 언급처럼, AI와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 소방 정책은 기후위기 시대에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보호하는 데 있어 필수적인 핵심 수단이 될 것이다. 소방청은 이러한 선제적이고 유연한 조직 혁신을 통해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예측 불가능한 재난에 강한 안전 사회를 구축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