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의 날과 청년주간을 앞두고 청년들의 문화적 욕구와 정책 사이의 간극이 주목받고 있다. 지난 8월 29일부터 이틀간 서울 성수동 복합문화공간 더블유젯 스튜디오에서 열린 ‘청년문화사용법: 네 개의 방’ 행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려는 시도로 풀이된다. 기존의 딱딱한 정책 발표나 행사 형식을 벗어나, 2030 세대의 취향을 반영한 팝업 스토어 형태로 운영된 이번 행사는 청년들이 스스로의 문화적 취향과 정체성을 탐색하고, 이를 정책 제안 및 실질적인 문화 활동으로 연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행사의 첫 번째 공간인 ‘탐색의 방’은 청년들이 바쁜 일상 속에서 잊고 있던 자신의 오래된 취미와 최근 관심사를 되돌아보며 다양한 문화 성향을 발견하도록 유도했다. MBTI 성격 유형 검사처럼 흥미로운 질문과 답변 방식을 통해 청년들은 ‘내가 정말 좋아하는 것은 무엇일까?’라는 근본적인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과정을 경험했다. ‘탐색의 방’에서는 ‘낯섦의 설렘’, ‘쾌감’과 같은 감각적인 표현과 ‘야구’, ‘일러스트’, ‘서점’ 등 청년들이 공감할 수 있는 선택지를 제시하며, 오롯이 자신의 경험에 집중하는 시간을 제공했다. 이어서 ‘고민 전당포’ 코너에서는 낯선 이들과 자신의 고민을 익명으로 공유하고, 타인의 답변을 통해 위로와 조언을 얻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뭘 해도 의욕 없는 날이 자꾸 길어져서 두려워요’와 같은 질문에 대한 답변을 주고받으며, 청년들은 자신이 혼자가 아니라는 사실에서 묘한 안도감을 느꼈다. 짧은 문장 하나에도 담긴 타인의 진심과 무게는 낯선 이의 고민이 곧 나에게 전해지는 조언처럼 다가왔다.
둘째 날에는 청년들이 자신의 취향을 실제 활동으로 연결하는 ‘연결의 방’이 마련되었다. 독서 모임, 잡지 커뮤니티, 체육 기반 협동조합 등 다양한 단체들이 부스를 운영하며 자신의 취미를 타인과 나눌 수 있도록 독려했다. 특히 문화체육관광부가 운영하는 청년정책 제안 온라인 창구인 ‘청년소리의 정원’ 부스는 즉석에서 ‘청년 재테크 교육’과 같은 정책 아이디어를 메모지에 남기는 방식으로 청년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냈다. 다양한 배경의 청년들이 남긴 의견을 살펴보며, ‘우리가 무엇을 놓치고 있는가’에 대한 깊은 고민을 공유하는 장이 되었다. 셋째 날 ‘영감의 방’에서는 취향이 직업이 된 사람들과 함께하는 다양한 강연이 진행되었다. ‘작가의 문장이 세상에 닿기까지’ 토크콘서트에서는 민음사 마케팅팀 조아란 부장과 김겨울, 정용문 작가가 책과 독자를 연결하는 현장의 이야기를 생생하게 전달하여, 책을 좋아하는 청년들에게 꿈을 현실로 만드는 실질적인 영감을 제공했다.
결론적으로 ‘청년문화사용법: 네 개의 방’ 행사는 청년들이 겪는 현실적인 고민과 개성 넘치는 취향이 어떻게 문화로 연결될 수 있는지를 생생하게 보여주었다. 특히 청년의 날과 청년주간을 앞둔 시점에서 이러한 경험은 청년 정책이 단순히 행정적인 지원을 넘어 청년의 문화적 욕구와 정체성 탐구까지 아우를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앞으로도 청년의 날을 전후하여 이처럼 청년들의 눈높이에 맞춘 문화 행사와 정책 소통의 장이 지속적으로 마련되어, 청년들이 서로를 격려하고 진정한 힘을 얻을 수 있는 기회가 더 많이 제공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