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내수 시장의 침체와 소상공인의 어려움이 지속되는 가운데, 지난 9월 개최된 ‘동행축제’가 6634억 원이라는 역대급 매출을 기록하며 경제 활성화의 중요한 계기로 주목받고 있다. 이는 단순히 소비를 촉진하는 것을 넘어, 소상공인에게는 희망의 불씨를, 우리 경제에는 힘찬 숨결을 불어넣는 의미 있는 성과로 평가된다.
이번 ‘9월 동행축제’는 침체된 내수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고 소상공인의 매출 증진을 목적으로 전국적으로 온·오프라인에서 다양한 행사와 이벤트를 통합하여 진행되었다. 특히 민생회복소비쿠폰 지급과 더불어 되살아나는 소비 분위기 확산을 위한 전국적인 연계 행사와 다채로운 이벤트가 성공적으로 추진되었다.
온라인 판매전에서는 총 6307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온라인 판로 확대의 성공 가능성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e커머스, TV홈쇼핑, 전통시장몰 등 2만 7000개 사가 참여한 이번 온라인 판매전에서 롯데온의 ‘동행제품100’ 기획전은 특히 두각을 나타냈다. 동아식품의 김가네 식탁 감자탕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6배, 호정식품의 옛날 도나스는 13배 이상의 매출 증가를 기록하며 롯데온 입점 이후 최고 실적을 달성했다. 또한 쿠팡에서 진행된 동행제품100 기획전에서도 다정한 마켓의 반려동물 간식껌과 부쉬맨의 워터프루프 선크림이 각각 6400만 원, 6000만 원의 매출을 올리며 동행축제 대표 상품으로서의 입지를 굳혔다.
오프라인 판매전 역시 144곳의 지역 행사와 정책 매장 등을 통해 327억 원의 매출을 달성하며 내수 시장 활성화에 기여했다. 이번 동행축제는 특히 비수도권 지역과 인구감소 지역의 상권 활성화를 위해 해당 지역의 행사 비중을 대폭 늘려, 전체 행사 144곳 중 비수도권이 76%, 인구감소지역이 24%를 차지했다. 제주 개막식은 APEC중소기업장관회의 연계 행사로 진행되어 1만 8000명이 방문했으며, 51개 사가 참여한 판매전에서 8500만 원의 매출을 올렸다. 롯데백화점(잠실점)의 상생판매전에서는 50개 사가 참여하여 1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대기업과 소상공인, 전통시장이 함께 성장하는 선순환 구조를 마련하는 데 기여했다.
이 밖에도 전통시장과 소상공인 매장의 소비 촉진을 위한 상생소비복권 이벤트는 1000만 명의 응모자를 끌어모았으며, 7개 TV홈쇼핑사와 7개 카드사가 진행한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 또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제품 판매 확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배달의민족 또한 제주 전 지역과 집중호우 피해 지역의 가게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할인 쿠폰을 발급하며 지역 상권 회복에 힘을 보탰다.
중소벤처기업부 최원영 소상공인정책실장은 “따뜻한 소비는 소상공인에게 작은 희망의 불씨가 되고 우리 경제에는 힘찬 숨결을 불어넣는다”고 말하며, 이어지는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을 통해 쇼핑, 여행, 문화 등 다채로운 소비 혜택으로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이러한 노력들이 지속된다면 침체되었던 내수 시장은 점차 활력을 되찾고 소상공인들은 다시 한번 도약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