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급격하게 심화하는 기후 위기와 인공지능(AI) 시대의 도래는 우리가 직면한 재난 환경에 근본적인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특히 이상기후로 인한 대형 화재 및 붕괴사고와 같은 복합 재난이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국가 차원의 재난 관리 패러다임 전환의 필요성이 절실하게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정부는 과학기술과 디지털 전환을 기반으로 한 재난·안전 대응체계 강화라는 주요 국정과제를 추진해왔으며, 이러한 정책 기조에 발맞춰 소방청은 기존의 자율기구인 소방과학기술과를 ‘소방AI기후위기대응과’로 개편한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조직 개편은 복합화·다양화되는 재난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구체적인 솔루션으로서 마련되었다. 새롭게 출범하는 소방AI기후위기대응과는 기존 소방과학기술과의 역할을 계승하면서도, 인공지능 및 기후 위기라는 시대적 요구를 적극적으로 반영한다. 주요 업무는 소방 현장 활동 지원을 위한 첨단 장비의 연구개발 및 기획뿐만 아니라, 소방 정책에 인공지능 등 과학기술을 활용하는 과제를 발굴하고 관련 기술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는 첨단 기술을 재난 대응에 접목하여 보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준다.
소방AI기후위기대응과의 성공적인 운영은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안전 서비스 구현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김승룡 소방청장 직무대행은 “AI와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 소방정책은 기후위기 시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핵심 수단”이라고 강조하며, “선제적이고 유연한 조직 혁신을 통해 미래 재난에 강한 안전사회를 만들어 가겠다”고 밝혔다. 이러한 조직 개편을 통해 소방청은 급변하는 재난 환경 속에서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최전선에서 첨단 기술을 활용한 과학적 대응 체계를 확립하고,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인 재난 예방 및 대응 시스템을 구축해 나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