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주민들의 공연 및 전시 관람 기회가 제한적인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비싼 티켓 가격과 수도권 중심의 문화 행사 개최는 지방 문화 향유의 진입 장벽을 높여왔다. 이러한 문제 인식 속에서 정부가 2차 공연·전시 할인쿠폰을 발행하며 지방 문화 활성화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이번 2차 할인쿠폰은 지난 9월 25일(목)부터 배포가 시작되었으며, 1차 쿠폰의 유용성을 경험한 시민들의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특히 이번에는 전국 단위 쿠폰뿐만 아니라, 비수도권 지역 전용 할인권이 추가로 제공되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이는 그동안 수도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문화 접근성이 낮았던 비수도권 주민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기 위한 방안으로 풀이된다.
비수도권 전용 할인권은 네이버 예약, 클립서비스, 타임티켓, 티켓링크 등 주요 예매처를 통해 발급받을 수 있으며, 공연과 전시 유형별로 각 2매씩 제공된다. 할인 혜택 또한 상당하여 1매당 공연 15,000원, 전시 5,000원씩 할인된다. 다만, 1차와는 달리 ‘매주 목요일’에 재발행되며, 발급받은 쿠폰은 다음 주 수요일 자정까지 사용해야 한다. 할인쿠폰은 11월 27일까지 유효하며, 미사용 쿠폰은 자동 소멸된다.
이러한 할인쿠폰 발행은 예술가의 사회적 메시지 전달과 지역 문화 거점 활성화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예를 들어, 최근 주목받았던 ‘처음 만나는 뱅크시 사진전’은 이러한 할인 혜택을 통해 지방에서도 충분히 수준 높은 전시를 경험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비록 서울·경기·인천 지역을 제외한 모든 곳에서 사용 가능한 비수도권 전용 할인권이 대구 북구의 복합문화공간 펙스코와 같은 지역 전시 공간에 적용되면서, 관람객들은 정가보다 훨씬 저렴하게 전시를 관람할 수 있었다.
뱅크시의 작품들은 사회 문제에 대한 날카로운 풍자와 위로를 담고 있으며, 이번 전시 역시 그의 대표작뿐만 아니라 ‘디즈멀랜드’ 프로젝트와 우크라이나 건물 잔해에 남긴 작품 등을 통해 그의 예술 세계를 다채롭게 조명했다. 이처럼 지방에서 개최되는 전시임에도 불구하고, 뱅크시의 작품들은 익명성 뒤에서 예술의 본질과 더 나은 세상을 향한 메시지를 던지며 관람객들에게 큰 울림을 선사했다.
이번 2차 공연·전시 할인쿠폰이 단순한 할인 혜택을 넘어, 수도권이 아닌 지역에서도 기획력이 돋보이는 알찬 문화 콘텐츠를 쉽게 접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이를 통해 지방 문화 생활 거점이 더욱 활성화되고, 시민들이 일상 속에서 예술을 향유하며 서로 나누는 문화적 풍토가 조성되기를 희망한다.